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늘날 자연과학의 눈부신 발전은 인간을 과학적 연구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인간을 대상화하고 있다. 그리고 그리스도교 내부에서는 인간의 삶과 목적(종말)에 대한 다양한 타종교의 주장들을 무분별하게 수용함으로써 그리스도교 고유의 인간이해를 흐리게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신학으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계시가 인간이해에 가져다 준 새로움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그리스도교 인간이해가 오늘날 우리들이 제기하는 인간문제에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숙고하도록 요청한다.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 논자는 그리스도교 전통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서 당대의 인간학적 사상적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했던 프랑스 예수회 신부 앙리 드 뤼박(H. de Lubac) 추기경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그가 제시했던 그리스도교 고유의 인간이해를 고찰한다. 제1장은 앙리 드 뤼박이 외부주의적 신학을 펼쳤던 신스콜라 신학에 반대하여 그리스도교 전통신학이 제시하는 인간이해, 곧 하느님의 ‘모상’(image)으로 창조되어 본성적으로 초자연적 목적에로 부르심을 받은 인간의 영적 본질을 밝힌다. 그리고 토마스가 가르친 “하느님을 뵙고자 하는 자연적(본성적) 욕구”(natural desire to see God)에 관한 교리를 재해석함으로써 인간 본성 안에 하느님과의 일치를 향한 존재론적 정향성이 있음을 규명한다. 제2장은 드 뤼박이 연구한 바오로의 삼분법적 인간학(1테살 5, 23b)을 분석하면서 그리스도교 고유의 인간이해를 제시한다. 인간은 본성적 차원에서 하느님의 영에 참여하는 영적 존재(pneuma)이며, 이러한 사실은 인간을 단순히 정신적이고 이성적인 차원에 한정해서 이해하려는 경향에 대한 강력한 저항이 된다. 제3장은 드 뤼박의 신비사상에 관한 연구를 통해 그리스도교 인간이해가 갖는 독특성을 규정한다. 인류의 모든 종교와 영성 안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신비사상의 보편성은 창조주께서 인간에게 선물로 주신 소명, 곧 당신과 만나고 일치하려는 “자연적(본성적) 갈망”에서 유래한다. 그러나 그리스도교의 신비사상은 신비 자체 -이는 결국 그리스도 신비이다 -와 맺는 상호연관성 안에서 자연적 신비사상과 구별된다. 그리스도교 신비성의 특성은 ‘모상’의 신비와 닮음의 신비에 있다. 후자는 인격적이고 종말론적 특성을 갖는다. 그리스도교적 인간이해는 그리스도 신비 안에서만 그 전모가 밝혀진다. 제4장은 드 뤼박의 후기 작품 안에서 강조된 그리스도와 인간의 이중 관계를 고찰한다. 그리스도의 강생의 신비는 그리스도와의 유기적이고 존재론적인 관계를 계시하고, 이러한 보편적이고 근원적인 관계맺음은 그리스도와 인격적 관계를 맺음으로써 신비체를 구성한다. 드 뤼박의 그리스도교 인간이해에 대한 신학작업은 오늘날 우리사회에서 발견되는 인간의 대상화, 그리스도교의 상대화에 저항 할 수 있는 신학적 근거를 제공한다. 하지만 그의 신학은 그리스도와의 인격적, 실존적 관계를 계시의 역사성 안에서 더욱 강조할 것을 촉구한다.


L'Eglise de Corée est aujourd'hui confronté au phénomène de l'objectivation de l'homme sous le développement croissant de la science. En outre, le phénomène de syncrétisme au sujet de la compréhension de l'homme constitue un autre défi. Dans ce contexte, le théologien coréen s'oblige à se demander : Quelle est la nouveauté de la révélation chrétienne concernant l'homme? et que offre concrètement cette nouveauté face aux problèmes posés? Pour répondre à une telle question, l'auteur s'attache à la théologie du Père Henri de Lubac, en lui posant la question suivante : comment présnete-il l'originalité de la compréhension chrétienne de l'homme dans son temps? Pour présenter les éléments essentiaux trouvés chez lui, l'auteur procède en quatre étape. Dans un premier temps, l'auteur montre le fait que le Père de Lubac a insité sur l'homme, créé à l'image de Dieu, et applé dès sa création à la fin surnaturelle comme don, à l'encontre de la théologie extrinsèciste à laquelle il s'est confronté. L'homme comme 'esprit' a 'le désir naturel de voir Dieu' dans sa nature m̂̂eme. Cela implique que l'homme ne doit pas ê̂tre objectivisé comme l'a fait la science. Dans un deuxième temps, l'auteur souligne la spécificité de la compréhension de l'homme, en analysant l'article du jésuite "anthropologie tripartite" de saint Paul(1Th 5, 23b). L'homme en tant que "pneuma" est un ê̂tre spirituel destiné à participer à l'Esprit. De ce fait l'auteur dégage un élement essentiel permettant de dépasser l'erreur du rationalisme qui considère l'homme comme un ê̂tre rationnel. L'auteur s'attache en suite au problème du mysticisme mené par de Lubac. L'universalité du phénomène du mysticisme s'origine de la création de l'homme comme image de Dieu en qui se trouve au fond le désire naturel de voir Dieu. Ce désir comme don est destiné à s'unir avec Dieu. Mais l'originalité de la mystique proprement chrétienne se trouve dans la ressemblance de Dieu. Celle-ci implique un caracète personnel et eschatologique. Dans le dernier temps, l'auteur repère un élément traditionel qui caractérise à la foi l'universalité et la singularité de la foi chrétienne pour le sujet. Il s'agit du double rapport de l'homme avec le Christ : rapport organique(ontologique) et personnel(relationel). Le premier se fonde sur le mystère de l'Incanation. Le second rapport implique l'appel du Christ dans l'ordre personnel. C'est la foi au Christ qui forme un corps mystique, sacrment de l'unité, l'Eglise. Le travail théologique du P. de Lubac apporte bien des éléments importants non seulement pour montrer l'originalité de la compréhension de l'homme et mais aussi pour résoudre le problème concerné. Malgré tout, nous sommes invité à approfondir le point suivant. Il s'agit pour nous de repenser au raport existentiel avec le Christ dans la vie concrète, en tenant compte de l'historicité de la révélation chrétienne pour l'Eglise de Coré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