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622년 설립된 390년의 포교성성 역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인물들을 언급하자면 예외 없이 성성의 기초를 놓은 초대 차관 프란체스코 인골리(Francesco Ingoli, 1578-1649)와 20세기 전반의 첼소 콘스탄티니(Celso Costantini, 1876-1958)를 꼽는다. 반면 예수회 해산(1773)과 프랑스 혁명(1789), 포교성성의 해체(1798) 등 교회사적으로 ‘격동의 세기’라 이를만한 18세기 중 후반, 격랑의 포교성성과 고스란히 운명을 같이 했던 스테파노 보르자에 대한 역사적 조명은 그 무게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근래 유럽권을 중심으로 그의 선교사적 공로에 대한 평가가 다시 이루어지고 있지만 정작 교회 선교에 대한 그의 비전과 사상의 태반이었던 ‘차관 시절’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 없거나 단일 사건을 중심으로 한 파편적 접근에 머물러있다. 따라서 그의 포교성성의 차관으로서의 ‘19년’ (1770-1789)에 대한 연구는 선교에 대한 그의 사상적 얼개가 형성되던 시기에 대한 규명 이외에 지금까지 그를 수식하던 여러 단어들 중 하나였던 ‘선교’에 대한 적절한 자리매김의 단초를 제공할 것이다. 이에 본고는 이중의 목표를 가지고 작성되었다. 첫 번째는, 보르자의 포교성성 차관으로서의 삶에 대한 복원을 통해 차관으로서 직면했던 여러 층위의 난제들, 즉 정치 외교적 문제로부터 교회 생활에 이르는 담론까지, 후일 현대적 의미의 ‘선교학’의 핵심주제들에 대한 그의 해석과 방법론을 파악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적극적으로 소개된바 없는 세계 선교를 관장하던 교회 중앙기구의 업무 구조와 정책 결정의 과정 등에 대한 실체적 이해이다. 세계 선교를 관장하는 중앙기구의 차관으로 임명되어 19년이라는 짧지 않은 시간 동안 보르자가 펼친 활동은 수평적으로는 교황청 내 행정적 실무부터 저 멀리 선교지의 분쟁 지역까지 아우르는 매우 광범위한 것이었다. 한편 수직적으로는 열강들의 헤게모니 투쟁과 같은 거대 담론부터 선교사들과의 개인적 우정까지 그 층위 역시 다양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보르자라는 인물상은 18세기 교회의 세계 선교라는 담론을 보다 입체적으로 조망할 유용한 프리즘이라 하겠다. 선교 담론은 일종의 해석학의 결과물이다. 선교사의 서한 같은 개별문헌이나 교회 중앙의 정책을 담은 공식문헌 모두 구체적 상황에 대한 자기이해의 열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성 차관으로서의 보르자의 직무 수행의 과정과 성원들과의 관계에 대한 구체적 규명은 어떤 의미에서 미력하나마 태동기 한국교회사 연구의 시야를 넓히는데 일조할 수 있다. 왜냐하면 18, 19세기 한국교회 태동기 교차되었던 세계 교회의 흐름과 한국교회에 대한 교회 중앙의 정책들에 대한 규명은 이러한 정책과 세계적 차원의 담론들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즉 이 ‘해석학적 과정’에 대한 실체적 이해로 보다 풍부해지기 때문이다.


When we mention the remarkable people in ‘Propaganda Fide’ history, which was founded in 1622 and has 390 years history, we pointed out two people without hesitation; the 1st Secretary Francesco Ingoli(1578-1649) who solidify the foundation of it and Celso Constantini(1876-1958) in early 20th century. Comparatively, the historical lighting on Stefano Borgia who was entirely with those raging waves of the Congregation for the Mission is insufficient. Mid and late 18th century might be called “Aturbulentage’ in Church history due to ‘Society of Jesus disorganization(1773)’, ‘French Revolution(1789)’ and ‘Propaganda Fide disorganization (1798)’. Recently Borgia’s meritorious deeds on Mission is reevaluating around Modern Europe, but there was no study on his ‘Secretary era’, which was the major of his Mission visions and thoughts showed, only partial fragment approaches based on single event studied. So the study on ‘his 19 years’(1770-1789) service as a Secretary’ searches closely on this era when his framework of ideas about mission began, thus will give the threshold for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word “mission”, one of the words decorating him. This study is written with double objects. First, break his interpretation and method on main subject which later be called “missionary work” into modern terms. Those were multi-level difficult discourses from politics, foreign affairs to Church life, which Borgia faced as the Secretary for the Mission. His interpretation and method became core subjects on ‘mission’ later. Second, understand the bureaucracy of the Church practically. So far the work structure of the center organization who initiated the World Mission and the decision making were not introduced in Korea positively. Borgia was elected as to the Secretary of the center for the World Mission, and served for 19 years long. Horizontally, his scope of services reached out from administrative works in Vatican to disputes in mission site. Vertically, he dealt with big arguments such as strife over the hegemony of world Powers and personal relationships with the missionaries. With these points of view, his personal characteristics could be a useful prism to prospect ‘the world mission in 18th century’ in three-dimension picture. Mission discourse is sort of interpretation study. Because both personal letters like the correspondences between missionaries and the official letters saying about the policies from central organization are the fruits from self-understanding on specific situations. To examine closely on his approaches to duty-work and his personal relationship as a Secretary helps to expand to study Early Korean Church History in slender means. The searching examination on the world stream in 18th and 19th century which was the quickening period of Korean Church and the policies from central organization on Korean Church showed how those discourses formed in world dimension, which abundantly lead to substantial understanding on this ‘interpretation proced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