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 시대는 타자를 부정하는 시대가 아니라, 오히려 긍정해야할 가치들이 넘쳐나는 시대, 한 마디로 ‘긍정성의 과잉’으로 인한 신경성 질환들이 시대의 질병으로 떠오르고 있다. ‘피로사회’란 타자의 이질성에 대항하여 자기 정체성을 강조하던 시대를 지나 타자를 자기성숙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긍정성의 과잉으로 인해 발생한 현대 사회의 병리현상을 표현한 말이다. 피로사회는 ‘면역학적 부정성’에서 ‘긍정성의 과잉’으로 전환되는 현상, 규율사회에서 성과사회로의 전환, 활동사회에서 피로사회에로의 전환을 특징으로 삼는다. 이러한 피로사회에서 인간은 사색하는 삶의 가치를 잃고, 성과 중심의 삶에 몰입함으로써 피할 수 없는 현대인의 심리학적 병리현상을 겪고 있는 셈이다. 종교 역시 현대의 피로사회 속에서 종교의 세속화 현상으로 인해 신앙의 면역력이 약해지면서 제2의 신앙위기를 겪고 있다. 전통적으로 수용해온 신앙 교리들에 대한 해석의 혼란이 나타나고, 신자들은 교회의 윤리 규범과 세속적 상황윤리의 당위성 사이에서 갈등하며 계명 준수의 난해함으로 피로감을 느끼고 있다. 최근에는 종교의 보편적 가치가 종교 혼합주의나 종교 다원주의 형태로 발전하면서 절대 규범으로 여겨진 그리스도교의 복음 정신이 상대화되거나 다른 이질적 종교심과 혼합되어 편의주의적 신앙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성과와 은사 중심의 신앙에 따른 피로감의 증대되면서 ‘제도화된 의무적 신앙’이나 신앙의 은사활동의 과잉으로 인해 냉담이나 냉소적 신앙에로 전락할 위기를 느끼게 하고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는 성과 중심의 사회 속에서 사색적 삶의 상실과 교회 안에서 치유체험의 결핍은 신자들의 신앙생활이 기쁨과 영적 충만이 아닌 피로감과 부담감으로 작용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현대의 피로사회 속에서 가톨릭 ‘신앙 감각’의 회복은 미래의 신앙 교육의 비전을 제시하는 중요한 신학적 기초가 될 수 있다. ‘신앙 감각’이란 “신앙하는 사람들이 지닌 생의 방향감각”을 뜻한다. 그것은 인간이 자신의 지각능력을 통해 신앙의 대상인 ‘거룩한 신비’이자 초월의 목표에로 개방되고 지탱될 수 있게 해주는 ‘신앙 인식의 기관’이며, 신앙을 일으키는 동인(動因)이기도 하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교회헌장』 12항은 하느님 백성이 그리스도의 직무 가운데 예언자적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진리의 성령께서 일깨워주시고 지탱하여 주시는” 초자연적 신앙 감각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개별 신자들이 지닌 신앙감각(sensus fidei)은 올바른 역사의식과 사회의식 속에서 서로 공감하고 교감하며, 신앙적 지평을 공유할 때 공동체적 신앙 감각(sensus fidelium)으로 성장한다. 그리고 가톨릭 신앙이 지닌 고유한 신앙적 감수성으로 구체화된다. 가톨릭 신앙은 우선 보편성이 지닌 ‘포용적 신앙 감각’을 갖고 있다. 이 포용성이란 하느님의 보편적 구원이 어떤 특정한 문화와 국가, 인종과 특정한 역사적 맥락에 국한되지 않고 온 인류의 문화적 자산을 하느님의 구원의 표징들로 적극 통합하고 포용하려는 특성을 갖는다. 여기에는 ‘토착화(土着化)’ 운동을 포함하여, 다양한 복음적 활동으로 전개되며, 오늘날 문제가 되고 있는 정의, 인권, 생명, 환경 등의 사회문제에 대한 올바른 식별능력을 부여한다. 동시에 가톨릭의 포용성은 역사 안에서 갈라진 형제들(개신교/정교회)과의 일치운동을 통한 대화와 타종교들과의 대화를 통하여 명시적으로 드러난다. 또 다른 가톨릭 신앙 감각의 특성은 보편성이 지닌 ‘완전함에 대한 매력’이다. 비록 교회가 역사 안에서 저지른 죄과에도 불구하고 참된 완전성에로의 지향은 교회의 지속적인 쇄신능력, 즉, 끊임없이 개혁하는 교회로서의 자의식을 갖고 교회가 제도적 오류와 인류 역사에 저지른 죄악에 대해 겸손하게 인정하는 모습 속에서 분명하게 이 완전성에로의 매력은 드러난다. 동시에 성사적 신앙의 형태가 간직하고 있는 성체성사의 신비와 고해성사의 의미는 가톨릭 신앙감각의 교회적 특성을 잘 드러내준다. 오늘날 피로사회 속에서 교회가 지향하는 신앙 교육이 신앙과 상반되는 부정성과 이질성을 강조하는 ‘면역사회’의 방어적 신앙 교육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오늘날 ‘긍정성의 과잉’에 따른 신앙의 위기들을 치유하는 사목적 형태가 계발되고 제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올바른 가톨릭 신앙 감각의 회복을 위한 사목적 노력이 요구된다. 가령, ‘지성적 회심’을 통한 ‘종교적 감각의 회복’, 보편성을 재발견하는 포용적 교육, 종교적 수행의 삶을 회복하는 교회적 노력, 성과중심에서 벗어나 사색적 신앙에로의 문화적 구조 수용, 또한 청소년과 청년 신자들의 신앙 감각의 회복을 위해 올바른 인성교육의 장으로서 교회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러한 사목적 노력에는 사목자들이 겪는 피로감과 영적 결핍을 채울 수 있는 영적 감수성 교육도 전제되어야 한다. 피로사회 속에서 가톨릭 신자들은 자신을 지치게 하는 세속적 요소들의 무의미성에 대해 대항하고, 그 피로감을 자신과 함께 몸담고 있는 공동체 구성원들과 나누면서 함께 기쁨과 고통을 나누고, 즐거움과 우애의 시간을 통해 새로운 신앙의 친교 공동체로 거듭날 수 있도록 초대받고 있다.


This era is not of denying others, but is overflowing values to affirm, in a word, neural disorders from ‘affirmative surpluses’ arise as an age disease. ‘Fatigue society’ means pathological phenomena in current society, which is originated from affirmative surpluses, those have to accept others as a sign of self-maturity, after passing era of focusing self-identity which confronts to other’s heterogeneity. “Fatigue society” is characterized; the transferring phenomena from “immunity nagativeness” to “affirmative surplus”, from disciplined society to result-oriented society and from ‘active society’ to ‘fatigue society’. In ‘fatigue society’ man lost thoughtful life values then move to result-oriented life. So it is inevitable to face this psychological pathology phenomenon. Religion is also facing the 2nd crisis in current ‘fatigue society’, because of weak faith immunity due to secularism. Confusion of doctrine interpretation which was adopted naturally in tradition troubled the believers what one should do in a world between church ethic rules and secular circumstance rules. Believers feel confusion, misunderstanding and difficulties to follow church rules. Recently, the common values of religion developed to stages of religion blending or religion pluralism, so the Christianity which was understood as to absolute norm is to be a relative concept or is shown as to opportunism that is mixed with other different religious sentiments. As the fatigues from focusing result, charisma-oriented faith are increasing; it makes to fall to critical situation of becoming non-practicing believer or sarcastic belief because of ‘mandatory systematized faith’ or surpluses of charismatic activities. Another aspect is that the deficiencies of less thoughtful life style and healing experiences in Church in this result-oriented society. These act as to fatigue and burden factors, instead of joy and spiritual fullness of Christian life. In this fatigue society, the restoration of Catholic ‘faith sense’ can be an important theological foundation to present future vision of religion education. ‘Faith sense’ means “believer’s sense of life direction”, ‘faith sense’ is ‘faith perception organ sense of the believers that opens and preserves to the goal of transcendence, ‘holy mystery’, through their own perception and also that is the motivation to set up the faith. In “Lumen Gentium”, Vatican Council II document, in Chapter 12,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upernatural faith sense; “Spirit of truth wake up and preserve it” when people of God perform the Christian prophetic ministry. Each believer’s ‘sensus fidei’ sympathizes and mutually responses with right history consciousness and society awareness. When they share religious horizon with others, it develops to ‘sensus fidelium’. And it can be concreted as to peculiar religious sensibility which Catholic faith has. Catholic faith has universal ‘comprehensive faith sense’. This comprehensiveness catholicity has characteristics; integrate actively and embrace all human cultural assets as to God’s signs of salvation; God’s universal salvation is not limited to a certain culture, nation, race and a typical historic context. This includes ‘inculturation’, develops to various evangelical activities, gives the discernment ability against current problems of society, those are justice, human rights, life and environment in society. At the same time, the comprehensiveness of Catholic Christianity is manifested clearly in Ecumenical movement (with Protestants and Orthodox) and the dialogues with other religions in history. Another special character of Catholic ‘sensus fidei’ is “attractiveness of perfection” coming from Catholicity. Although Church have made mistakes in history, the true aspiration for perfection reveals clearly Church’s continuing renewal power which shows continuous reforming shape of Church with consciousness and the humility of admitting her hierarchical errors and mistakes in history. The Eucharistic Communion mystery and the meaning of sacrament of confession manifest ‘Catholic sensus fidei’ well. In this ‘fatigue society’, Church’s intention for faith education should be defensive faith education against ‘immune society’ which emphasize injustice and heterogeneity against faith. Also pastoral proposals that can cure faith crisis derived from ‘affirmative surpluses’ should be enlightened and presented. To do this following pastoral endeavors are required to restore ‘Catholic sensus fidei’. ‘Restoration of faith sense’ through ‘intellectual conversion’, comprehensive education to rediscover the Catholicity, Church efforts to restore the life of ascetic practices, acceptance of moving to contemplative cultural system which is escaped from result-oriented and the Church’s role as the youth humanity education field. Here, spiritual sensibility education for the shepherds of the church to fulfill their fatigue and spiritual deficiencies is prerequisite. In ‘fatigue society’ Catholic Christians are invited to confront to meaningless of secularization which make them exhausted, rather while sharing those weariness, joy and pain with community members they begin to reborn to new faith community through friend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