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갈수록 세속화되는 현대 세계 안에서, 가톨릭교회가 자신의 본질적 사명(선교 혹은 복음화, 새로운 복음화)을 수행하기 쉽지 않은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오늘날 사람들은 과거 교회가 선교를 위해 펼친 수직적 또는 일방향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에는 쉽게 눈과 귀를 열려고 하지 않는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각각의 교회 공동체는 현재의 문제를 냉철하게 진단하고, 다가올 미래에 대한 대응책이 포함된 체계적인 사목 계획을 갖추어야 한다. 그리고 이는 교회가 신앙의 가치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새로운 열정, 새로운 방법과 표현’으로 재창조함으로써, 자신의 내외적 구성원들 사이에서 보다 긴밀한 소통적 관계를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오늘날 변화무쌍한 사목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계획 수립 방법 및 단계’를 제안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는 ‘방법론적 틀’을 상이한 두 자료, 곧 ‘버나드 로너간’의 『신학 방법』상 기능적 전문분야(functional specialties)와 ‘사목훈령’ 「새로운 시대」부록(‘사회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사목계획의 요소들’)으로부터 차용했다. 사목계획은 무턱대로 일정한 크기로 파이를 자르는 방식이 아닌, 현 상황에 관한 신학적인 성찰을 계획 단계 안에 조직적으로 담아낼 수 있는 뼈대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우선, 로너간이 ‘신학 안에서 방법을 정초’하기 위해 제시한 여덟 가지 전문분야는 ‘조사-해석-역사-변증-기초[학]-교의[학]-조직[학]-커뮤니케이션[학]’으로 구분된다. 이들은 본고가 제시하는 ‘사목적 커뮤니케이션 계획’에 훌륭한 지침을 제공한다. 이에 각 요소들이 의미하는 바를 ‘재해석’한 다음, 두 번째 방법론적 틀인 「새로운 시대」부록(23-33항)이 제시하는 계획 단계의 요소들(수요측정-정보수집-대안적 모델 탐구)과 적절한 융합을 시도했다. 이렇게 작성된 본고의 새로운 ‘사목적 커뮤니케이션 계획 수립 단계’(조사 및 환경분석-목표와 대상설정-비전수립-의식화-조직점검-계획서 작성-활성화-결과분석 및 평가)는 각각의 단계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상호 수정․보완하는 ‘상승적 순환과정’을 통해 점진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사목적 커뮤니케이션 계획’은 교회의 근본적 사명 안에서 수립되어야 하고, 그 사명을 위해 헌신할 필요가 있다. 커뮤니케이션이란 개념 자체가 이미 공동체의 관계 안에서 나눔과 친교를 지향하는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In the increasingly secularized modern world, the Catholic Church is challenged to carry out its essential works (mission or evangelization, a new evangelization). Nowadays, people are not willing to open their eyes and ears easily toward a vertical or one-way method of communication that church utilized for mission in the past. In this reality, each church community must diagnose current problems and prepare a systematic pastoral plan that includes a countermeasure for the future that is coming. And such things should be able to contribute in establishing a more intimate communicative relationships among their internal and external members by church’s recreating its communication method on the value of faith “a new ardor, methods and expressions.” In this context, this paper tried to present “establishing methods and steps for a communication plan” that can be applied to today's very changeable pastoral realities. For this, I adopted "methodological frameworks" from two different materials, Bernard Lonergan's “functional specialties” in the “Method in Theology” and pastoral instruction Aetatis Novae’s appendix(elements of a pastoral plan for social communications) which are helpful in planning. The reason for this is that a pastoral planning requires not a way like cutting a pie into a certain size randomly but a framework that could put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current situation in a systematic planning stage. At first, the eight functional specialties Ronergan presented to “put into the Method in Theology” are specified into “Research–Interpretation–History–Dialectic–Foundations–Doctrine–Systematics–Communications.” And these elements provided an excellent guidance on “a pastoral communication plan”that this paper presented. Therefore, after reinterpreting each element’s meaning, I tried an appropriate convergence with the planning phase of the elements(Needs Assessment - Information Gathering - Exploration of Alternative Models) that is suggested in Aetatis Novae’s Appendix(n. 23-33), the second “methodological mold.” This paper’s “the new establishment process of a pastoral communication plan”(which is composed through the steps: research and environmental analysis - setting goals and targets–establishment of vision - conscious - organization check - writing plan - vitalization - results analysis and evaluation) can develop gradually through "a process of synergistic cycle”where elements that make up individual step are mutually modified and complemented. But above all “a pastoral communication plan” should be established within the fundamental mission of the Church and it should be devoted to the mission. This is because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itself already contains a meaning toward a relationship of sharing and communion within the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