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종말론적 희망과 그리스도 공동체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기 위해서 특히 위르겐 몰트만의 신학적 배경과 사상을 고찰한다. 먼저, Ⅰ장은 몰트만의 “희망의 신학”을 연구하기 위한 전이해(前理解)의 장으로서 몰트만의 생애뿐만 아니라 그에게 종말론의 영향력을 행사했던 다양한 신학적 배경들을 살펴본다. 이어지는 Ⅱ장은 ‘희망의 종말론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는 ‘출애굽의 공동체로서의 교회’를 다룬다.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이기적인 공동체로부터 탈출하여 어떻게 출애굽의 공동체가 그리스도교적 지평을 열어야 하는지 Ⅱ장에서 심화되는 것이다. “오늘 우리에게 그리스도는 누구신가?”라는 물음은 현대를 살고 있는 신앙인들이 십자가에서 희망을 발견할 수 있도록 이끄는 하나의 도전이자 요청이다. 즉 십자가 아래에 서 있고 거기에서 희망을 발견하는 공동체가 바로 오늘날의 그리스도 교회이어야 하는 것이다. 몰트만에 의하면, 희망의 공동체는 바로 ‘창조적 제자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말하는 ‘창조적 제자직’이란 십자가를 짊어지고 오시는 하느님의 나라를 기다리는 희망 속에 사는 기쁨의 사도직이다. 창조의 제자직을 수행하는 교회는 종말론적 희망의 공동체로서 출애굽의 공동체가 되어야 하며 희망의 공동체는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그러나 그리스도교적 변화는 이 세상과는 아무런 상관없이 하늘 저편의 어떤 추상적인 권능에서 유래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세상 한복판에서 십자가 형틀을 짊어지시어 돌아가시고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고 그분과 함께 그분을 통해서 구체화된다. 결론적으로 Ⅱ장은 정치적 이념에 사로잡히지 않으면서도 지배 권력의 시녀로 전락하지도 말아야 하는 출애굽의 공동체는 이제 스스로 자신의 온전한 비판적 자각을 통하여 억압된 삶으로부터 세상을 구원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따라서 몰트만의 신학은 정치 신학이 되지 않을 수 없다. ‘정치 신학’을 몰트만이 채택한 이유는 ‘정치’가 오늘날 사회 모든 영역에서 지배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또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 신학은 현재에서 부당하게 고통당하고 있는 구체적인 인간의 삶을 해방하기 위해서 중점적으로 그리스도인들의 책임성을 묻기 때문에, 그 범위는 사회의 모든 영역으로 확대될 수밖에 없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위르겐 몰트만이 제시한 ‘출애굽의 공동체 신학’을 가톨릭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교회론과 관련된 몇 가지 중심 주제들을 살펴보면서, 결국 몰트만이 제시한 희망의 신학은 가톨릭교회의 여러 문헌들 안에서 나타나는 기본적인 교회론-종말론적 입장을 더욱 풍요롭게 완성해 나간다는 사실을 밝힐 것이다.


This study represents mainly “Eschatology of Hope” of J. Moltmann as a form of introduction, and then criticizes it in the vision of Catholic. Chapter One introduces the whole theology of J. Moltmann. In this Chapter as pre-understanding about “Eschatology of Hope”, it deals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his life, and tells who did give the influence to J. Moltmann in the context that leads his Theology. And then from the contemporary context-“Desire for Hope”, Chapter One represents how J. Moltmann develops the newness of his Theology which flows in his text. Then, Chapter Two is the ground of the Church’s character formation that can be called as the crystallization of J. Moltmann’s Eschatology. In this, he puts questions about the Church and the Society’s Identity-Relation Dilemma. And in this flow, it will be clarified which horizon the Exodus Community has, practising the escape from the community that the modern society claims. Because the Christian Faith essentially is the Faith about the Resurrection as the preoccupation’s event of the historical termination,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act of the Church’s mission as the preoccupation’s actualization of the historical termination. Now Moltmann picks up the way of the Political Theology through the Crux life of the Church that appears as the Creative Discipleship. This “Political Theology” means that the Church should not be caught by the political ideology and the powerful social institution, at the same time the Church has to try to contribute to the salvation of the social reality through the critical thought of all statement for herself. The Conclusion puts mainly questions about the limit of the application concerning the modern Church and Ecclesiology, J. Moltmann’s Eschatology that is arranged with the vision of Catholic Theology. In this context, this study observes the dialectical and theological methodology of J. Moltmann that does not explain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Future Eschatology” and Eschatology concerning the strain of “Already” and “Not Yet” and so on. And actually, his “Eschatology of Hope” misunderstands the life of the church’s community which the situation of Catholic Theology has for the “make common good.” But this study wholly attempts to represent that J. Moltmann is the theologian who draws near Vatican Councils II in the dimension of Christian Hope, and more advancing, represents how the Church community achieves a part as the witness of Hope as the critical refl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