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내 거주 이주민을 미디어가 재현하는 방식과 경향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나타나듯, 타자화는 한국 사회에서 이주민을 묘사하는 가장 일발적인 방식으로 이해된다. 타자화는 유입국내 미디어가 이주민을 일반적으로 묘사하는 주요 방식으로 우리와 그 외의 집단으로 차별화를 시키면서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는 방식으로 그들의 정체성을 해제하고 ‘우리’식으로 재구성하는 인종적 서열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미디어가 이주민을 타자화 시킴에 있어서는 매우 다층적이며 동적이고 물질적인 조건들에 의해 다양한 경향성을 띨 수 있다. 즉, 한 사회내에서 지배적인 미디어는 일면적이고 정적인 방식으로 이주민을 타자화 시키는 것이 아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한겨레신문과 조선일보에 나타나는 타자화 프레임들 - 관용온정 프레임, 범죄자 프레임, 국가민족 프레임, 차별 프레임, 실천 프레임 -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 또는 유지 되는지, 그리고 경기지수, 실업률, 소비지수 등의 국내 경제 지표들에 어떻게 반응하는 지를 탐색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various ways of news media to represent immigrants in Korea. In particular, as shown in the previous studies, 'the otherness' is the dominant way to portray immigrants living in Korea, through which the foreign communities are differentiated from 'us' to maintain racial ranking that their identities tend to be reconstruct to be fragmented as well as obsolete characteristics being subordinate to native population. It is the roles of mass media that reflect at the same time enhance the process of racial domination in a society. However, there are various ways and conditions, both material and symbolic, that dynamically construct the Otherness in portraying the immigrants. In this study, we tries to understand how the immigrants are framed to be 'the other' in Korean society. By comparing the diverse strategies and patterns of the otherness in Chosun Ilbo and Hankyoreh Shinmoon, the study analyzes how the ideologically different news media frames the immigrants utilizing five unique the otherness frames including Paternatism frame, Criminalization frame, Nationalism frame, Discrimination Frame, Action frame. In addition, we also assume that the national economic conditon may have influence over the process of the otherness so that economic indexes such as unemployment, domestic consumption, and business index may have systematic relations with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otherness media frames over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