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2000년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여성상을 분석하기 위해 여자주인공의 연령대, 결혼여부, 사회경제적 계층, 남녀주인공 성별에 따른 직업, 극중 역할비중, 경쟁상대, 시대상 이미지, 내적 성격 유형 및 외적 성격 유형 등을 드라마 형식 및 세부장르에따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지닌다. 첫째, 2000년 이후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여성상은 과거와는 달리 상당히 적극적이고 능동적이며 현대적인 형태로 변화하고 있고 극중 역할 비중 또한 주변에서 중심으로 옮겨가고 있으나 사회경제적 계층과 직업에 있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신분적 계층과 직업을 지닌 것으로 그려지고 있다. 둘째, 2000년 이후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여성상은 아직은전통적인 여성상과 현대적인 여성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과도기적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텔레비전 드라마에서는 기존의 남성 중심적 논의가 유지될 뿐만 아니라 이에 갈등하고 대립하는 저항적 여성 담론이 공존하고 있음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는 여자주인공과 관련해서 선한 여자(여자주인공)와 악한 여자(경쟁상대)가 일과사랑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야망의 콩쥐팥쥐형’ 드라마의 전형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넷째, 2000년 이후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는 20대와 30대의 젊은 미혼 여성을 주인공으로 배치시켜 시청자들을 사로잡는 동시에 시청률을 담보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women’s images represented on Korean television dramaafter 2000, focusing on the inner and outer images and roles of female majorcharacters. For accomplishing this goal, this study analyzed female major characters’weights in roles on television dramas, socioeconomic levels, competitors, ages andwhether or not married, jobs of male and female major characters depending upontheir sex, and jobs, weights in roles, ages and whether or not married, images ofthe times, the inner personality and outer roles of female major characters. The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mparing to the past, women’s images representedon Korean television dramas after 2000 were far more improved in light of women’sactivity, positivity and modernity. Further, female major characters’ weights in roleson dramas were moved from peripherals to centers. Comparing to men,nevertheless, women have inferior positions and stay on peripheral sides in thepaternalistic Korea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