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교과서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전국의 초등학교 교사이며 유층표집에 의하여 초등학교 교사 370명을 대상으로 2010년 5월부터 2010년 8월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유층표집에 의해 선정된 초등학교의 5, 6학년 교사들에게 우편 및 전자메일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분석 및 교차 분석을 통해 전체, 성별, 근무 경력별, 실과교육전공 여부 등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교사는 실과 교과서의 가장 중요한 기능을 탐구 및 문제해결 유도로 인식하고 있으며 실과 교과서 개발 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요소는 실습 과제의 실현 가능성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현행 7차 교육과정의 실과 교과서 활용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교수와 학습의 편리성, 실습의 실현 가능성, 실습 과제 수 및 학습 분량의 적절성에 대해서 적절하지 못하다는 응답이 많았고 현행 교과서의 난이도에 대해서는 비교적 적절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utilization status on practical arts textbook. To achieve this purpose, 37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by stratified sampling and were question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d crossing analysis by total, sex, education career, major in university, location of school. According to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teachers perceive that the important function of the textbooks to draw exploring and problem solving . And the teachers are thinking that realizable possibility of practice subject was decisive factor in developing science practical arts textbook. The teachers were in the litmusless position that the teaching-learning convenience, the realizable possibility of practice subject, the amount of practice subject and learning in practical arts textbook. The teachers perceive in the affirmative that the level of difficulty in practical arts text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