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 279명을 대상으로 하여 완벽주의와 역기능적 인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완벽주의와 역기능적 인지가 자기결정성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지향적 완벽주의는 역기능적 인지의 하위변인인 역기능적 불안 및 역기능적 공격성에만 부분적으로 부적 상관을 나타내는 반면에,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역기능적 인지의 하위변인인 역기능적 우울, 역기능적 불안, 역기능적 공격성 모두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경쟁모형이 최종모형으로 선택되었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성향이 클수록 역기능적 인지 수준이 커지게 되고, 역기능적 인지 수준이 커질수록 자기결정성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한편, 학업성취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자기결정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의 특성 및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 대한 교육적 의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279 college student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dysfunctional cognition and the way how perfectionism and dysfunctional cognition affect self decision mak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finally examined the structural model on them. The results show that self oriented perfectionism has negative correlation partly only with dysfunctional anxiety and dysfunctional aggression, which are the sub-variables of dysfunctional cognition. On the other ha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of the dysfunctional depression, dysfunctional anxiety, dysfunctional aggression which are the sub-variables of dysfunctional cognition. In this study, the competitive model was chosen as the final model. This means that dysfunctional cognition increases as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increases, and self decision making decreases as dysfunctional cognition increases. Academic achievement shows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analyzes the features of the variables which affect students' self decision making. At last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presented and the further studies a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