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직전교사교육과정에 있는 초등예비교사들이 현장의 체육수업을 위해 더 갖추어야 할 점과 어떠한 내용의 강의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를 확인하여 교사교육자로서 강의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계획을 마련하고, 직전교사교육과정의 개선방향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K대학교 초등예비교사 2학년 115명과 4학년 118명 총 233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개방형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한 내용분석으로 결과를 생성하였다. 분석의 결과 예비교사들이 체육수업을 위해 더 갖추어야 할 점은 ‘체육수업방법, 체육 실기능력, 체육 교과관의 확립, 체육․스포츠에 대한 이해, 더 갖춰야 할 것이 없다’는 5가지의 대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그리고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강의는 ‘교수법위주의 강의, 체육실기강의, 현장의 체육교육 이해를 돕는 강의, 체육교육론 강의, 충분하다’는 5가지의 대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결과에서의 공통된 인식을 토대로 직전교사교육과정의 개선방향을 ‘체육교수방법의 신장, 체육실기 능력의 향상, 체육교육에 대한 인식의 확립’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reflective alternatives for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figuring out the preparatory elementary-teacher's perception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date was collected through open type questionnaire executed on 233 students K National University and results were deducted through inducive category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5 large domains of 'teaching strategies and practical skill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dentifying a value system with understanding of sport education', and 'nothing to special'. Both teaching and practical skill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categorized with the themes of practical knowledge in the field and 'nothing to necessary' in needs assessment. The authors of the study suggested alternatives such as developing teaching methods, elevation of physical competence, and building identity for valu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improv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