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1970년대에 우리나라 전국의 초등학교에서 실시되었던 ‘자유학습의 날’ 의 운영내용, 운영방법, 운영의 실효성 및 문제점 등 운영의 실제를 탐구하고, 그것이 현행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운영에 어떤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가를 고찰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자유학습의 날은 학습에 대한 과중한 심리적 부담을 겪고 있던 초등학생들을 위해 처방된 제도로서 교실수업 체제의 변화를 도모한 아동중심 교육과정, 통합적·창조적 교육활동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이 제도는 학생의 자율적·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촉진하고, 교사들의 교육과정 개발과 실행의 경험을 통해서 전문성을 고양하는 기회를 부여한 활동이었다. 자유학습의 날은 취미, 스포츠, 실기·노작, 새마을 교육, 현장학습 활동으로 그 영역이 대별되었다. 그리고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과정으로 내용을 조직하여 직접 경험을 강조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운영은 학교 단위나 학년 단위로 일주일 중 어느 하루를 책가방 없이 자유롭게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부담을 경감시키는 데 기여를 했으나, 제도의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부담감, 교육과정 재구성 능력의 부족, 교육여건의 불비 등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실행되지는 못하였으며, 이후 현행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계승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서의 적절성의 담보, 교과의 통합적 조직·운영, 창의적 체험활동의 개발․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practices of implementation of Free Study Day i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reduce excessive psychological burden on the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1970s, the Ministry of Education imposed Free Study Day on elementary schools. It is characterized by student-centered curriculum, integrated and creative activities of education. Also, It focused construction of learning contents on students' direct experiences, facilitat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s the methods of implementing th day, there were a simultaneous implementation for a school or distributed one for each grade school. For the implementation day of the week, Saturday was the most, followed by Wednesday. Students reduced excessive psychological burden, a pleasant school life was achieved with a day of no book bag. And teachers grew their experiences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But it was not continuously implemented due to some problems including insufficient materials, teachers' burden on the plan for implementation. I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need to find implica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in elementary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