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90년대 말 이후 전개되는 학습자중심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인 구성주의 교육을 초등 교사들이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지를 현재 공교육사회라는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먼저 초등 일반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구성주의에 대한 인식과 실천 현황을 분석하고, 이어서 구성주의 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교사의 경우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현재 공립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이 구성주의 교육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에 소재한 H초등학교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둘째, 3명의 초등 구성주의 교사들을 목적적 표본 추출로 선정하고, 이들이 현재 사회문화적, 역사적 맥락 안에서 구성주의 교육을 실천하는 모습을 ‘활동이론의 분석틀’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첫째, 초등 일반교사들은 구성주의 교육을 절충적으로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교사들은 비(非)구성주의적 관습적 학교공동체 안에서 외발적으로 실천하고, 전통적 학습관 및 지식관을 바꾸어야 한다는 필요보다는, 안정적 교직 수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습적 학교풍토 안에서 구성주의 교육을 실천하는 교사들은 여러 도전과제들에 직면해야 했으며, 이러한 도전과제들을 해결하는 몇 가지 실천전략을 보여주었는데, ‘생성적(enactment) 교육과정 재구성’, ‘구성주의 실행공동체 형성’, ‘비판적 지식 형성’, ‘학습자를 중심적 참여자로 유도’ 등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이 더욱 강조되는 이때, 지난 15 여 년 동안 학교 교육현장에서 강조된 구성주의 교육의 현 주소를 확인해보고, 앞으로 학습자중심교육과정이 학교현장에서 진정성 있게 실현되기 위해 선결되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본 연구의 질적 자료 분석틀로 사용된 활동이론은 다면적이고 종합적인 내용분석에 매우 적합한 연구도구이자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perceived and implemented student-centered curriculum based on constructivist approach for the last 15 yea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wo research groups (10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3 constructivist elementary teachers) through deep interview with two groups, respectively. The qualitative data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ree stages of activity theory: activity systems, 4 steps of contradiction and expansive transition, all of which are regarded as an effective conceptual and analytic tool for the researchers to clarify human activities in a specified socio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ok eclectic approaches adopting constructivist principles partially in the climate of non-constructivist community. They emphasized teacher’s authority as an agent of delivery of pre-determined knowledge. Second, within the conventional school climate, constructivist elementary teachers had to confront with several challenges, yet overcome them with a couple of strategies: enactive reconstruction of 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mulating a constructivist community with peer teachers and parents as well; formulating critical knowledge; including students as central participants of constructivist learning practices. This study shows that activity theory is an effective analytical tool for qualitative data, whil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ome helpful insights for authentic practice of constructivist learning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