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교육과정의 지역화는 단순하게 본다면 학습자 특성 및 지역사회 여건, 학교 실정에 맞게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교육 효과의 극대화를 꾀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이다. 사회과에서는 교육과정 지역화의 실현을 위해 지역 교과서의 개발을 통해 지역화 교육을 실천해 왔지만 지역 내용의 학습을 통한 지역적 특수성의 강조만으로는 학습자가 지역화된 교육 내용 속에 담겨 있는 의미를 온전하게 이해하고 활용하고 있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지역화 교육의 가치와 효과는 교육 내용의 지역화 정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라기보다 지역의 내용을 통해 교육과정에서 제안하는 의미와 가치를 이해하는 정도에 의해 판가름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과 교육과정 지역화의 대표적 방안으로 이해되고 있는 지역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그 장점을 발전적으로 재구성하여 지역화 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온전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 방안의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 학교가 위치한 김해시를 중심으로 활용 가능한 지역사회 자원을 선정하고, 교육과정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선정된 지역사회 자원은 현장학습, 자원인사 활용, 지역개발 자료의 활용 방안으로 구분하고, 자원형태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지역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Localization of curriculum is to organize curriculum to match the conditions of region and school from simple perspective. Localization education of social study subject has emphasized the contents of learning of the region to emphasize regional feature traditionally. However, localization of curriculum does not aim to deliver regional contents itself. It aims to make students understand meaning of regional contents and utilize it properly. Value of regional education is determined by degree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proposed by curriculum through regional contents. This study aims to develop program that can realize meaning and value of regional education and selected community resource for this. Selected resource of community should be separated into field learning, utilization of resource personnel and regional development data. Available regional program according to resource type was developed and appl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