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문학교육에서 개념적 지식은 교육적 가치가 높다. 개념적 지식이 다양한 작품의 수용 및 생산에 깊이 관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학에 관한 개념적 지식을 문학교육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학습자들의 수준에 맞게 교수학적 변환하는 일이 시급한 과제이다. 특히 교과서는 문학교실에서 영향력이 큰 교재이기 때문에 교수학적 변환이 보다 엄밀히 실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문학교육에서 교수학적 변환에 관한 연구는 일천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문학교육에서 핵심적인 교육 내용 중 하나인 사건, 인물, 배경의 정의를 교과서 층위에서 교수학적 변환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교수학적 변환과 교수내용지식을 구분하고, 교수학적 변환의 관점을 취하는 이유를 밝혔다. 그리고 교수학적 변환을 위해 고려해야 할 두 가지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문학 지식의 본질적 의미를 훼손시키지 않아야 하고, 둘째, 학습자의 이해 수준에 맞게 표상해야 한다. Ⅲ장에서는 연구방법을 서술하였다. Ⅳ장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사건, 인물, 배경의 학문적 의미를 고찰하고, 조사연구를 통해 사건, 인물, 배경에 대한 초등학생의 이해도를 분석한 결과를 서술하였다. Ⅴ장에서는 앞선 논의를 바탕으로 사건을 ‘이야기에서 일어나는 일’, 인물을 ‘사건을 일으키거나 경험하는 사람 혹은 사물’, 배경을 ‘인물이 사건을 경험하는 시간이나 공간’으로 제안하고, 이들 지식을 가르칠 때 유의해야할 점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의 의의는 서사의 구성요소인 사건, 인물, 배경의 교수학적 지식을 마련하고, 문학교육에서 교수학적 변환의 방법적 틀을 제안하였다는 데 있다.


Conceptual knowledge in literary education is of high educational value because it is deeply involved in the accommodation and production of varied literary works. As such, it is an urgent challenge to interpret literary conceptual knowledge in the perspective of literary education, and to pedagogically transform literary conceptual knowledge to different levels of learners. In particular, pedagogical transformation of textbooks should be carried out rigorously as they are very influential in literary class. The reality is, however, that research on pedagogical transformation, generally, remains very elementary in the area of literary educ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has transformed and presents the definitions of the most critical elements of literary education such as plot, characters, and setting for school textbooks. For this purpose, in Chapter II, pedagogical transformation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have been divided, and the reason for the pedagogical perspective has been explained. In addition, two considerations for pedagogical transformation have been presented: First, it should not deform the essential meaning of literary knowledge, and secondly, it should make representation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levels of learners. In Chapter III, the content and methods of this study have been described. In Chapter IV, the academic meanings of plot, characters and setting have been looked into through literature study. Further, the results of research for the analysis of understanding of plot, characters, and setting by elementary school pupils have been explained. In Chapter V, based on the preceding discussions, the plot has been defined as “a sequence of events in the story,” the character as “a person or thing which causes or experience an event,” and the setting as “time when or space where a character experiences an event.” Major points for teaching this knowledge also have been proposed. This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making pedagogical knowledge on the elements of narrative structure such as plot, characters, and setting, and in proposing a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pedagogical transformation in literary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