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대학생 학습윤리 교육의 방향을 고찰하기 위한 근본적인 접근으로, 우리의 전통 논의 속에서 표절이 어떻게 의식되었는가를 관련 용어들을 통해 추출해 보고 그 속에 담겨있는 선인들의 인식을 살펴서 현행 대학생 글쓰기윤리 교육을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바람직한 대학생 글쓰기윤리 교육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표절 관련 용어들은 모방・법고・의고・용사 등 가치중립적인 방향과, 방고・도습・발총수・활박생탄・절호백구수・달제어 등 부정적인 방향, 점화・불습・창신・환골탈태 등 긍정적인 방향 등의 세 부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표절에 대한 전통적 논의의 고찰을 통하여 이끌어진 바람직한 대학 글쓰기윤리 교육의 몇 가지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글쓰기윤리 교육이 정확한 인용과 표절을 피하는 방법 교육에 치우쳐 주체적 사고와 표현이 위축되게 하는 방향이어서는 안 된다. 둘째, 글쓰기에 있어 표절은 마땅히 지양되어야 하지만, 다른 글의 표현이나 체제, 뜻 등을 모방하여 자기의 것으로 변용, 발전시키는 태도 역시 중요함을 교육적으로 강조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생 글쓰기윤리 교육은 규제나 처벌 위주의 교육을 지양하고 글쓰는 이의 자세, 나아가 학문하는 이의 자세를 강화하는 선도와 예방 위주의 교육이어야 더 바람직하다.


This approach tried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ethical education in the college. First, Through extracted from the relevant plagiarism terms, I searched ancestors’ consciousness of the terms how to become accepted and considered reflectively for ethical education in college. And I try to seek for solution to develop the ethical wriring education fundamentally. I divided plagiarism terms into three classes. In value-neutral category, there are Mobang(模倣), Euigo(擬古), yongsa(用事) etc. Banggo(倣古), Doseup(蹈襲), Balchongsu(發塚手), whalbaksaengtan(活剝生呑), Jeolhobakgusu(竊狐白裘手), Dalgyeoeo(獺祭魚) are terms of positive meaning. And Jeomwha(點化), Bulseup(不襲), Changsin(創新), Whangoltaltae(換骨奪胎) are terms of negative meaning. As a result, I suggested preferred direction of improvement ethical wriring education in college. 1. It should be increased in an independent thought and expression. 2, An ability to imitate of positive meaning needs to be stressed. 3. It is needed education mainly with a proper guidance and prevention rather than the regulation and pun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