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코티칭 전략을 활용한 STEAM 수업이 예비수학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와 STEAM 수업에서 코티칭 전략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생각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20명의 예비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학교육 세미나 강좌 시간을 활용하여 한 학기 동안 수행되었다. 사전, 사후 설문 조사 및 면담 결과에 의하면, 코티칭 전략을 활용한 STEAM 세미나 수업은 지식 및 태도 범주에 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 핵심역량의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 범주에서는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연구 참여자들의 STEAM 교육의 정의, 도입 배경, 수업 방법, 수업 준거에 대한 지식이 보다 구체화되고 정교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태도 범주에서는 STEAM 교육에 대한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에서 사전, 사후 검사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STEAM 수업에서 코티칭 전략의 유용성에 대해서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특히, 타 교과 내용에 대한 이해 및 수업 준비 측면에서 코티칭 전략의 유용성에 대해 강조하였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 of STEAM course using co-teaching strategies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re competencies for STEAM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views on the application of co-teaching strategies to STEAM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in ‘mathematics education seminar course 2’ during one semester with 20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ccording to the pre and post questionnaires and focus group interviews, STEAM course using co-teaching strategies helped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in ‘Knowledge’ and ‘Attitude’ categories. In ‘Knowledge’ category, compared to pretest, participants’ knowledge of STEAM education such as definition, background, instructional methods was more elaborated and advanced on posttest. In ‘Attitude’ categor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all of the attitude questionnaire items excepting one item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co-teaching is a very effective strategy, especially, for contents convergence in the practice of ST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