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참고서가 필요 없는 교과서 완결 학습 체제’를 마련하기 위해 개발한 과학과 ‘핵심 성취기준 중심의 교과서’ 시범 단원을 분석하고 그 타당성을 검토한 것이다. 분석 결과, 시범 단원은 기존 교과서에 비해 더 많은 참고자료나 연습문제를 담고 있지 않았고, 정책 연구를 통해 설정한 자기주도적 학습 요소를 형식적으로는 어느 정도 갖추고 있으나 따라하기 매뉴얼식의 탐구활동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의미 있는 탐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과서는 아니었다. 또한 핵심 성취기준 외에 일반적인 성취기준까지도 포함하여 사실상 내용 감축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없었다. 시범 단원은 현 교과서 정책들의 의도가 잘 반영된 교과서라고 판단하기 어려웠고, 더 중요하게는 과학과에서 추구하는 목표와 방향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구현된 미래지향적인 탐구형 과학 교과서로 볼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현재 정부가 추진하는 교과서 정책이 모든 교과, 모든 학년(군)에 적합하다고 할 수는 없다. 미래형 교과서 개발 논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고민되어야 할 것은 각 교과가 추구하는 교육의 목적과 특성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과학 교과서 개발에 있어서는 자기주도적 학습이 아닌 학생이 중심이 되는 탐구학습을 강조하고, 프로젝트 학습, 협동학습, 토의・토론과 같은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향을 중심에 세워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monstration unit of the ‘core achievement standard-based science textbooks’, developed to prepare ‘the textbook completion learning system that does not require supplementary materials’ and to review its valid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hard to consider the demonstration unit as the textbook reflecting the intention of the current textbook policies; more importantly, it could not be seen as the future-oriented exploratory science textbook made to achieve the goal and direction that science pursued. To conclude, it is hard to say that the current textbook policy driven by the government is fit for all subjects and all grades (groups). What should be most importantly concerned about when we discuss development of the future-oriented textbooks should be the educational purposes and characteristics each subject pursues. Therefore, for development of science textbooks, not the self-directed learning but the student-centered exploratory learning has to be emphasized, and the interactive learning such as the project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and discussion should be the center of the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