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 있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활용한 질적 연구로,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 교재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파악하여 실무자들의 경험을 근거한 실질적인 유아 다문화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이해에 관한 내용은 세계문화에 대한 지식전달에서 벗어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할 수 있도록 보강되어야 하며, 차별금지 및 반편견 등과 관련한 내용은 평등성과 관계 형성 등의 실질적인 내용을 포함하도록 하여야 하겠다. 정체성과 다양성에 관한 내용에는 다문화가정에 대한 이해 등 한국 다문화사회의 현실에 맞는 내용이 포함되어야겠으며, 유아들의 취학 후 초등교육과 연계를 염두에 둔 교재 활용 방안도 마련되어야 하겠다. 더불어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다문화교육은 다문화사회에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사회성교육을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유아기 다문화교육은 모든 유아를 대상으로 모든 장소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사회의 유아교재에는 전반적으로 다양성과 정체성, 평등성 등 다문화교육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겠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utilizing interviews with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education field. In this study, identify the awareness of teachers about teaching, we try to provide direct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multi-cultural education is simply focused on knowledge delivery of global culture and accommodating other culture. Education to understand difference of culture is necessary. Second, a broader approach towards various problems such as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nd anti-bias, that have been made in the process of multi-cultural socialization, is required. It must include practical contents like equality and relationship formation, and must caus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nd anti-bias to naturally blend in the life of children. Thir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households must be included. Education about identity and diversity must be performed in a way that suits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Fourth, a casebook that deals arbitration of multi-cultural household problems, is required.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requires continuous and multilateral improvements to solve its problems. It will also show us the right direction for education, which we must have in long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