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의 교육학계에서 기능주의 이론에 대한 비판들이 40여년에 걸쳐 기능주의를 집대성한 T. Parsons의 이론 구성 과정에 대한 검토 없이 이루어져 근거 없는 왜곡된 평가가 많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Parsons 기능주의 이론의 역사적 형성 과정과 교육사상을 그의 대표 저작에 의거하여 고찰하면서 교육학계에서의 기능주의 비판들이 공정한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기존의 기능주의에 대한 비판들 중 귀속적 측면에 대해 관심이 소홀하였거나 무시함으로써 불평등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결여되었다는 비판, 통합과 합의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갈등을 경시하였다는 비판, 체제 유지 논리에 초점을 두어 사회변동을 제대로 설명하기 어렵다는 비판, 인지적 측면을 강조하여 인성교육 또는 전인교육을 소홀히 한다는 비판, 인간이 관습이나 제도를 단순히 수용하기만 한다고 함으로써 인간을 사회화의 수동적 존재로 본다는 비판들은 Parsons의 저작 내용에 비추어 볼 때 왜곡되어 있으므로 수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the validity of the criticism on Parsons’s functional theory during the past four decades in educational circles of Korea society. The alleged critics around functionalism have been carried out without efforts of examining the historical process of constructing Parsons’s social theory. Histor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major contents of Parsons’s social theory and educational thoughts. As a result, such alleged critics as follows should be modified in terms of Parsons’s writings: 1) the lack of critical perspective on inequality by ignoring reversion, 2) negligence of conflicts by overemphasizing unification and mutual consent, 3) difficulties in explaining fully social upheaval due to focusing on the logic of the maintenance of system, 4) carelessness of moral character education or all-round education by accentuating cognitive aspects, 5) regarding humans as passive beings for socialization by thinking of them as beings of acceptance for a social custom or instit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