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廣開土王陵碑文>에서 작자의 수사방식을 통해 수용자의 세계관이 달라지는 양상의 여러 측면을 고찰하고, 왜 세력에 대한 과장·굴절된 서술이 등장하게 된 원인을 살피자 한다. 이는 <능비문>을 실제 사실과는 다소 다른 ‘사실의 형상화’를 지향한 텍스트로 파악함으로써 한국 고대문학의 범위를 넓히고자 하는 시도의 하나이다. <능비문>의 작자는 서방으로 요하 이서의 패려 지역까지, 남방으로 한반도 남부의 제 세력[백제, 신라, 왜], 북방으로 숙신과 동방으로는 동부여에 이르기까지, 광개토대왕이 무력과 회유를 번갈아 사용하며 서·북방의 유목민족은 경제적으로, 남·동방의 여러 국가들은 정치적으로 복속시킨 과정을 서술했다. 이러한 정복 활동을 통해 고구려의 천하를 체계화하고, 국가적 상징으로서 묘역을 정돈할 것을 촉구한 점이 <능비문>의 주된 역할이었다. 껄끄러운 외교적 대상이었던 중국과 유목민족 국가들은 고구려의 ‘천하’에서 배제하고, 서방으로 패려 지역에 국한되었다. ‘왜’는 고구려의 천하에 포함되는 대상이었으며, 남방의 끝자락에 위치하여 격렬하게 저항했기에 군주와 도성 등 국가 체계를 갖추지 못했으면서도 백제·신라의 배후처럼 묘사되었다. 광개토대왕의 위업을 과장하기 위해 백제·신라보다 더 우월한 세력처럼 인식시키고자 한 것이다. <능비문>을 통해 당대의 수용자는 고구려의 과거, 현재, 미래에 걸친 시간적 추이를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는 동시에, 사방 동서남북으로 성장하는 공간적 확장의 단계도 실감할 수 있었을 것이다. 오랜 기간 경쟁해 온 중국과 유목민족 국가는 별개의 천하 권역으로 인식하게 되었지만, 복속에 저항했던 왜족을 궤멸시켜 남방 영토를 완전 평정했다는 언술은 왕의 권력을 정당화시키고 고구려인의 자긍심을 높이는 사회 통합적 기능을 맡기에는 충분했을 것이다. 왜의 역할이 실제 이상으로 과장되고, 한반도 남부가 그 영향권에 있는 듯한 표현들은 백제, 신라와는 달리 왜가 최남단 지역에서 마지막까지 광개토대왕의 王化에 저항하여 궤멸된 세력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능비문>에 드러난 작자의 의도, <능비문>의 수용자들이 받아들인 세계관 혹은 역사인식을 중심으로 한 편의 텍스트가 사실을 과장 · 굴절시키는 정황을 고찰하고자 했다. 요컨대 <능비문>을 1차 사료로 볼 수 없다 해도 그것 자체만으로 충분한 문화사적 의의가 있으며, 역사 사료로서 이해하기보다는 그 문학적 형상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그 온전한 자리매김이 가능하리라는 의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rhetoric and world view of the Epitaph of the Great King Kwanggaeto. By this work, we can describe its literary nature as well as its culural importance itself. The author of this epitaph emphasised the power of the '倭(whe)' in the southernmost, excludeed the existence of the China : both north and south. We cannot understand the reason of this rhetoric by the historical study method. The author intended to make an figuration of the world view for the '高句麗(Koguryeo)', not only by the history itself but by the literary figuration. The Whe and China are described differently with the historical fact to built the world view for the Koguryeo. The world view of the Koguryeo reaches Paeryeo toward the west; Paeckjae and Shilla toward the south; Joosin toward the north; East Pooyeo toward the east. They ruled over the east and the north by plunder, the south and east by subjection. The Koguryeo must be a the center of their world1. For this symbol, the royal tomb of the Great King Kwanggaeto must be a a memorial of the tribe union. The power of the tribe whe is overstated to unify their society. The tribe whe were resisting to the last in the south, repulsing the civilizing influence of the Great King. So the perfect conquest of them is very meaningful thing. In nature, the rhetoric and world view of the Epitaph is a result of an literary iguration. So we can expand the scope of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by this Epitap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rhetoric and world view of the Epitaph of the Great King Kwanggaeto. By this work, we can describe its literary nature as well as its culural importance itself. The author of this epitaph emphasised the power of the '倭(whe)' in the southernmost, excludeed the existence of the China : both north and south. We cannot understand the reason of this rhetoric by the historical study method. The author intended to make an figuration of the world view for the '高句麗(Koguryeo)', not only by the history itself but by the literary figuration. The Whe and China are described differently with the historical fact to built the world view for the Koguryeo. The world view of the Koguryeo reaches Paeryeo toward the west; Paeckjae and Shilla toward the south; Joosin toward the north; East Pooyeo toward the east. They ruled over the east and the north by plunder, the south and east by subjection. The Koguryeo must be a the center of their world1. For this symbol, the royal tomb of the Great King Kwanggaeto must be a a memorial of the tribe union. The power of the tribe whe is overstated to unify their society. The tribe whe were resisting to the last in the south, repulsing the civilizing influence of the Great King. So the perfect conquest of them is very meaningful thing. In nature, the rhetoric and world view of the Epitaph is a result of an literary iguration. So we can expand the scope of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by this Epit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