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공간성을 통한 향가 작품의 이해는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공간과 관련된 의식, 지각, 형상 등이 작품에 나타난 양상을 분석하여 향가의 문학성을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현존 향가에 그려진 공간들은 크게 실제적, 일상적 공간과 관념적, 초월적 공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비중이 가장 높은 궁궐을 비롯하여 신라의 수도 서라벌, 서라벌과 여러 방식으로 연관된 지방들, 그리고 국토와 하늘, 바다 등이 나타난다. 한편, 저승에 대비된 이승, 초월을 지향하는 수도처와 신성 장소, 그리고 초월적 존재가 거하는 곳 등도 나타난다. 향가 중에서 공간성이 잘 드러나는 <헌화가>, <찬기파랑가>, <처용가>를 분석해 보면, 향가 작품의 공간성이 매우 면밀하게 얽혀 수준 높은 문학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헌화가>는 위와 아래, 가운데와 가장자리, 안과 밖, 겉과 속이 서로 얽혔다 풀어지면서 화자와 대상 간의 조화로운 만남으로 귀결된다. <찬기파랑가>는 복합적인 공간 및 의미 관계를 설정하고 그것을 풀어나가 이념의 푯대를 세우고 있다. 화랑 기파가 떠난 빈자리에 선 문도들의 현재적 소명 의식이 기파의 사상과 행적을 이념화하여 추종하려는 다짐으로 나타난다. <처용가>는 안과 밖의 관계 속에 아내를 두고 벌어진 쟁탈전에서 분노를 삭이며 물러서는 양상이다. 안의 혼탁함에 대해 밖의 시선을 의식함으로써 그 속에 빠지지 않으려는 고결하고 강렬한 의지가 드러나 있다. 한편, <헌화가>는 붉은 색 톤의 시각적 이미지가 만연하고, 손이 지닌 촉각적 이미지의 미묘한 파장이 이는 가운데, 그 배후에서 수로의 말이라는 청각적 이미지가 작용하고 있다. <찬기파랑가>는 여러 자연물의 색채가 잣나무라는 하나의 사물로 집약되면서 맑고 밝은 색채 이미지와 원뿔형의 형상을 통해 기파가 지닌 인격과 이념의 고결함을 드러내었다. 자연물의 색과 형상이 곧 작품이 추구하는 이념의 표상이다. <처용가>는 밝은 밖과 어두운 안의 대비를 통해 뜻밖의 사태에 직면한 화자의 인식 과정이 나타난다. 가랑이 넷이라는 강렬한 형상이 흑백 사진 같은 작품 전체의 시각적 이미지를 압도하는 데에는 혼동을 질서 잡으려는 의도가 반영되었다. 향가에서 시상이 공간적으로 전개되는 양상은, 실제 공간이 갖는 관계에 변화가 생기고, 그에 따라 이미지가 형성되고 의미가 부여되며, 결국 공간 관계의 재편이 이루어짐으로써 마무리된다. 공간적 상상력은 이러한 지적, 정서적 구조화의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다.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spatiality of Hyang-Ga because the literariness of Hyang-Ga is revealed with the compounding of spatial consciousness, spatial perception, and spatial figuration. Beforehand, we can divide the spaces of Hyang-Ga into two categories. There are physical spaces as in palace, Seorabeol the capital of Shilla, provinces related to the capital, territory, sky, and sea. Also there are ideal spaces as in this world contrasted to the other world, places for an ascetic practice, and sacred transcendental spaces. Spaces are constructed elaborately in Heonhwa-Ga, ChanGiparang-Ga, and Cheoyong-Ga. The poetic structure of spaces show the individual spatialities of these poems. Heonhwa-Ga shows that at the beginning, relations of above and below, center and edge, in and out, inside and outside get entangled and come disentangled at the end. The visual images of the color red are spread on the poem. Also, tactile images of hand and auditory images of heroine Suro's spee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ompounded delicately. ChanGiparang-Ga shows that the spaces and meanings are connected complexly and the complexity is dissolved progressively and the ideal signpost is erected at the end. The ideas pursued in the poem is reflected on the clean natural colors. As natural colors are concentrated into blue color of pine tree, the hero Gipa's lofty character is revealed. Cheoyong-Ga shows that the inner sight crosses with outer sight in the struggle to possess one's wife. With awareness of the outer sight the will to not fall in the filthy situation is intensified. The contrast of bright outside and dark inside reflects the cognitive selection between the right and wrong act in an affair.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spatiality of Hyang-Ga because the literariness of Hyang-Ga is revealed with the compounding of spatial consciousness, spatial perception, and spatial figuration. Beforehand, we can divide the spaces of Hyang-Ga into two categories. There are physical spaces as in palace, Seorabeol the capital of Shilla, provinces related to the capital, territory, sky, and sea. Also there are ideal spaces as in this world contrasted to the other world, places for an ascetic practice, and sacred transcendental spaces. Spaces are constructed elaborately in Heonhwa-Ga, ChanGiparang-Ga, and Cheoyong-Ga. The poetic structure of spaces show the individual spatialities of these poems. Heonhwa-Ga shows that at the beginning, relations of above and below, center and edge, in and out, inside and outside get entangled and come disentangled at the end. The visual images of the color red are spread on the poem. Also, tactile images of hand and auditory images of heroine Suro's spee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ompounded delicately. ChanGiparang-Ga shows that the spaces and meanings are connected complexly and the complexity is dissolved progressively and the ideal signpost is erected at the end. The ideas pursued in the poem is reflected on the clean natural colors. As natural colors are concentrated into blue color of pine tree, the hero Gipa's lofty character is revealed. Cheoyong-Ga shows that the inner sight crosses with outer sight in the struggle to possess one's wife. With awareness of the outer sight the will to not fall in the filthy situation is intensified. The contrast of bright outside and dark inside reflects the cognitive selection between the right and wrong act in an affa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