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18세기의 趙龜命ㆍ兪漢雋이 주장했던 ‘道文分離論’을 구성하는 담론의 기원을 밝히고, 아울러 그들이 당대인의 상식인 ‘道文一致論’을 부정하면서 ‘道文分離論’을 주장할 수 있었던 이론적․역사적 배경을 탐구하였다. 본고의 분석에 따르면, 道文分離論의 대전제인 “三代 이후에 道와 文이 분리되었다”는 언술은 애초에 朱子가 도문이 분리된 잘못된 현실을 지적하고 道文一致의 이상을 회복해야 함을 역설하는 맥락에서 제기했던 것이다. 18세기 조선에 와서 이 논리는 趙ㆍ兪 두 사람에 의해 오히려 도분분리의 현실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문학의 독립성을 주장하는 논리로 변용되었다. 그러한 주장이 가능했던 이유를 본고는 이미 16ㆍ17세기에서부터 여러 각도에서 일어난 道文分離的 경향의 확산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본고는 도문일치적 문학관의 균열을 ‘脫程朱學的인 사상적 이탈의 경향’․‘朱子 문장의 典範性에 대한 부정’․‘異端的 이념의 거부와 문학적 수용 경향’으로 구분해서 파악하였고, 이러한 앞시기 국내외의 諸경향들이 수렴ㆍ종합된 결과로 18세기의 도문분리론이 제기될 수 있었음을 밝혔다.


This essay is to analyze the orgin of the discourse of Do-Mun-Bun-Ri-Ron(道文分離論), and explore the theoritic and historical background to an emergence of this discourse. It was Zhu Zi(朱子) expressed for the first time that the major premise of Do-Mun-Bun-Ri-Ron that(Confucian) Morality and Literature had been separated after the xia(夏)ㆍyin(殷)ㆍzhou(周) dynasty. Through his words, He emphasized that the ideal state of Do-Mun-Il-Chi(道文一致) should be recovered, but in Chosen(朝鮮) dynasty in the 18th century, his discourse was modified and changed by Cho, Kooi-myeong(趙龜命) and Yu, Han-jun(兪漢雋). They accepted affirmatively the reality that(Confucian) Morality and Literature had been separated, what is more, asserted the separation of literature from the confucianism. Why they can assert their new point was caused by the spreading of the tendency of Do-Mun-Bun-Ri had been started from the 16ㆍ17th century. And the tendenc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an ideological breakaway from Confucianism's boundary, opposing to Zhu Zi(朱子)'s literature as a canon, refusing to heretical view and its acceptance in the literary aspect. As a result of collecting and piecing together this three tendency at the former times, It may be started a hare to Do-Mun-Bun-Ri-Ron(道文分離論) in the 18th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