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숙향전>을 통해 조선사회가 버려진 딸, 혹은 遺棄兒에 대해 어떤 기억을 만들고 있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숙향전>은 부모로부터 버림받은 딸의 서사를 숙명과 보은의 관점에서 풀어간다. 숙명론의 관점은 버려진 딸에 대한 아버지의 책임을 약화시키고 있으며, 보은의 관점은 아버지의 음덕이 숙향이 삶을 유지하게 해 주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는 가족도, 사회적인 보호망도 없이 버려진 이들에게 자신의 삶은 숙명에 따른 것이며 그럼에도 결국은 잘 살아남을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을 갖게 한다. 그런 점에서 <숙향전>은 버려진 딸의 기억이라기보다는 버려진 딸에 대한 아버지, 공동체, 조선사회가 갖는 일련의 죄의식과 그것을 숙명과 보은으로 무마하고자 하는 기억의 장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e Sukyangjeon in order to see how Chosun society constructs the memories of an abandoned children or daughters. This work presents a narrative of a daughter who had been abandoned by her own parents with a perspective of fate and repayment of kindness. The view-point which interprets an abandonment as an event of destiny serves to lessen her father's responsibility, while the perspective which stresses ancestors' invisible virtue leads the optimistic feeling that in spite of one's experience of being abandoned outside the familial and social protection, one can survive. In this aspect, the memories of an abandoned daughter in Sukyangjeon is found to be constructed with focuss not on the daughter's position but on the guilt feeling by her father, her village and Chosun society and their efforts to make up for an act of abandonment through the notion of fate and ancestors' invisible virt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