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일본 교토대학 소장본 『三家樂府』의 원전을 비평하고 편저자에 대해 해제하였으며, 시조 한역시의 역사와 시조사 전반의 측면에서 『삼가악부』가 지닌 의미를 살펴보았다. 원전비평을 통해서는 『삼가악부』의 필사자가 이미 정정해 놓은 誤記의 양상과 후대인의 加筆 양상을 정리하여 원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였다. 또한 『삼가악부』 내 紫霞 小樂府의 이본 비교를 통하여, 『삼가악부』의 필사대본이 되었던 자하 소악부의 종류를 가늠하고, 그것이 서문을 갖춘 별책 계열이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고에서는 또한 편저자인 元世洵과 李裕承의 약력을 조사하고 그들 간의 관계를 밝혔다. 그 결과 그들이 민족정체성 수호의 의지를 지녔던 인물들로서, 시조를 전승한다는 목적의식 아래 자하 신위의 소악부를 전범으로 하여 소악부를 창작하고 『삼가악부』를 편찬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유승과 원세순은 신위가 그랬듯이, 원시조의 내용과 형식을 충실히 반영하는 형태로 소악부 작품과 그 題名을 창작하였다. 그리고 원세순은 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소악부 작품뿐 아니라 그 원시조들 또한 한글로써 체계적으로 기록하였고, 원시조들의 작가를 비정하여 그 시대순으로 소악부 작품들을 배열하였다. 또한 그는 자신의 소악부 전반부에는 사대부 시조의 전통적인 주제들을 골고루 보여주는 작품들을 싣고, 그 후반부에는 애정과 같은 세속적인 주제를 다룬 작품들을 배열하여, 古調의 고아함과 新調의 생생함을 그의 소악부가 포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삼가악부』는 대한제국기의 격동 속에서 전통문화를 지키고자 노력했던 이유승·원세순 두 작가가 시조 전승이라는 뚜렷한 목적의식 아래 편찬한 책이며, 적절한 작시법과 체계적인 편제를 통해 고시조 선집의 면모를 갖출 수 있었던 의미 있는 결과물임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original text of Samgaakbu, a compilation of the sijo poems, which were translated into classical Chinese. In this paper, I introduced the authors of Samgaakbu and shedded light on the meanings embedded in that book with regard to the history of the sijo genre. Firstly, I made clear of the misprints in Samgaakbu, which is owned by Kyoto University in Japan, and I compared a part of Samgaakbu to the other relevant book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ooks and Samgaakbu. Secondly, I scrutinized the authors of Samgaakbu to find out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m and to figure out their purpose of compiling the book. Finally, I criticized the poems in Samgaakbu to specify their literary aspects and to verify if the authors' goal that I looked into in the previous chapter had been achieved. Through these arguments, I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Samgaakbu as follows. Firstly, Samgaakbu was written by the authors who possessed the will to build up the national identity and to preserve the sijo genre. Secondly, the authors of Samgaakbu adopted the appropriate methods of translation in that they preserved the original contents and forms of the sijo poems and created imaginative title for each sijo. Lastly, Samgaakbu is a well organized anthology of sijo, in which the translated sijo poems were arranged in chronological and thematic order, accompanied by the original sijo texts in Korean characters, hange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