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사대부가 무당, 귀신, 죽음 등 타자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으며, 자신을 어떻게 상상하는지 문제를 제기하면서 시작한다. 이를 위해 조선 전·중기 일화와 조선 후기 야담의 귀신담론을 분석하고 이를 일원적 세계관으로 정리했다. 그 구체적인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대부는 그 존재만으로도 귀신을 굴복시키며 스스로를 신성화하기에 이른다. 둘째, 사대부는 현실과 幽冥을 소통시키며 염라국의 왕이 되어 인간 수명을 연장하는 권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현세의 권력을 귀신세계까지 확장하고, 죽음과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사대부들의 집요한 욕망을 읽을 수 있다. 이는 두 가지 측면에서 균열이 발생한다. 첫째 일원적 세계관 외부에서다. 구비서사에 근간을 둔 <김치현감설화>는 이승과 저승세계의 권력을 분명히 나누고 있으며, 서사무가 <차사본풀이>는 저승에 대한 지식·권력에서 김치 현감을 철저하게 배제하였다. 둘째, 일원적 세계관 내부에서이다. 『금오신화․남염부주지』는 현실과 유명의 간격을 인정하지 않으며, 양자를 아울러 지배한다는 점에서 일원적 세계관을 공유한다. 하지만 유가적 이상에 대한 열정이 새로운 공간과 주체를 양산하면서 일원적 세계관에 균열이 발생한다. 이상의 연구는 조선 사회 권력층의 욕망과 그 한계를 지적했다는 데서 의의를 가진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sight of gentry on the other figures such as shamans, ghosts and death, raising problems where they should be positioned. For this, episodes in early and middle of Chosun and discourses on ghosts of yadam in late Chosun were analyzed and they were summarized with a view of unitary world. First, gentry made ghosts surrender with their existence and transcend themselves to be sacred. Second, gentry make life and hell(幽冥) communicate and execute power to extend life of human beings to be a king of Hades. Through this, they expand the power of contemporary times to ghost world, and we can read their persistent desire to go beyond death and the limit of humans. This desire makes cracks from two aspects. First, it is from the exterior of the vision of the monism. <Kim-Chi yadam> based on oral narrative divided the power of the living world and the world of death cledarly. In <Chasabonpuri>, a oral poetry of shaman, Kim Chi was totally excluded from knowledge on and power of Hades. Second, it is from the interior of the vision of the monism. <Namyeombujuji> in “Geumoshinhwa(금오신화)” shared a vision of the monism in that it acknowledged the gap between the life and hell and tried to govern both of them. However, a vision of unitary world is differentiated and new space and subjects are created by reflecting purity of ideal of Confucianism. The birth of criticizing subjects show cracks of a vision of unitary worl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mmented the desire and its limitation of power class of Chos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