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歗齋 卞鍾運(1790∼1866)이 지은 한문단편소설 <角觝少年傳>을 대상으로 그 敍事 淵源과 주제의식을 고찰하였다. <각저소년전>의 주요한 서사 연원은 세 가지이다. 그 하나는 柳夢寅의 『於于野談』에 실려 전하는 ‘惡僧과 客의 내기씨름 설화’이다. 그 둘은 ‘官奪民女 설화’이다. 그 셋은 중국소설 <水滸傳>의 ‘燕靑과 任原의 씨름 이야기’이다. 변종운은 이 세 가지의 기존 서사를 적절히 참조하면서도 문제의식에 기반한 새로운 創案을 더함으로써 독자적 美感을 지닌 작품을 창작하였다. 한편 <각저소년전>의 주제의식은 두 가지 층위로 나누어 말할 수 있다. 그 하나는 ‘작은 재주를 믿고 우쭐대는 인간에 대한 비판’이다. 그 둘은 ‘힘 없는 사람들을 억압하여 착취하는 인간과 그 사회현실에 대한 비판’이다. 본고에서는 특히 비판의 대상인 승려에 관심을 갖고, 허구적인 승려의 형상에 조선후기 향촌의 ‘高利貸金業者’ 및 ‘中間收稅者’와 같은 ‘土豪’에 대한 비판이 ‘寓意’되어 있음을 밝혔다. 그러므로 ‘힘 없는 사람들을 억압하여 착취하는 인간과 그 사회현실에 대한 비판’이라는 <각저소년전>의 한 가지 주제의식은 보편적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조선후기라는 특수한 현실 속에서 예각화된 사회역사적 함의를 지닌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고의 논의를 통해 <각저소년전>이 단편의 한문소설이지만 다양한 서사 연원을 지니며, 사회역사적 차원에서 심각한 주제의식을 지닌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This paper examined the sources of narration and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Gakjeosonyeonjeon角觝少年傳, a short novel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by Sojae Byeon Jong-un卞鍾運. The major sources of the narration of Gakjeosonyeonjeon are divided into three sources. One is ‘the tale of wrestling for betting between a rascal monk and a guest’ included in Yu Mong-in’s Eouyadam於于野談, and another is ‘the tale of Gwantalminnyeo(a government official’s exploitation of a civilian woman)官奪民女’, and still another is ‘the tale of wresting between Yeoncheong and Imwon’ in Suhojeon水滸傳, a Chinese novel. Byeon Jong-un created the work titled Gakjeosonyeonjeon that has a unique sense of beauty by adding original ideas based on a critical mind while referring aptly to these three existing narrations. Meanwhile,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Gakjeosonyeonjeon can be explained in two layers. One is ‘a criticism about the people bragging about petty skills.’ The other is ‘a criticism about the people oppressing and exploiting the weak and such realities of society.’ This paper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monk as the object of criticism and revealed that he embodied the monk as a local power such as a local ‘usurer’ and ‘tax brok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this second thematic consciousness not only has implications in a universal perspective but also has social and historical implications that are sharpened in the midst of the special reality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discussions of this paper, it was newly found that, although Gakjeosonyeonjeon is a short story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t has diverse narration sources and has serious thematic consciousness in a social and historical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