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목표는 국문학자료의 존재 양상을 점검하고 자료 탐색의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국문학 연구의 초기 단계에서 선학들은 국문학의 벼리[史]를 수립하기 위하여 국문학자료의 수집과 정리에 집중하였고 그 성과가 매우 다양하게 집적되어 있다. 국문학자료의 존재 양상은 몇 가지 경우로 확인할 수 있는데, 사본의 형태, 간본의 형태, 직접 진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자료, 현장조사를 통한 자료의 확보 등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국문학자료의 탐색을 위한 전망은 새로운 자료에 대한 기대가 중요하지만 자료에 대한 재발견과 자료의 공유라는 두 축을 핵심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실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조선왕조실록을 읽으면서 당대 정치 현실의 움직임을 돌아보면서 문학사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마련하는 것이다. 둘째, 문집을 읽으면서 사승과 교유의 인맥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 연구나 집단 연구의 좌표축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구체적인 사례로 『청구영언(진본)』의 무명씨에 대한 작가 변증을 시도할 수 있는데, 이때에 고려해야 할 항목들을 주목할 수 있다. 넷째, 각 개인이나 문중에 전해지고 있는 자료에 대한 탐색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urvey the existing state and the prospects of the Korean literary material research. The existing state of the Korean literary material research is exposed to collect and arrange the literary works. The predecessors collect and arrange many Korean literary material to set up the guide ropes of Korean literary history. There are several methods to hand down the material as manuscripts, published books, direct statements, and the spots of literary work. We are able to expect the prospects of material research as following. We consider the key point as rediscovery and joint ownership of material. First, we are able to read Chosunwangjosillok(朝鮮王朝實錄)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those`days and the context of literary history. Second, we are able to read Munjip(文集; collection of works) for the sake of setting up the axis of coordinates both an individual study and a group study. Third, specially in Cheongguyeongon(靑丘永言), we are able to demonstrate the singer or the writer in the part of nameless. And the Fourth, we are able to research the material being handed down between individual and one’s close rela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