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텬로력뎡>을 삽입시와 삽화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그 가치에 대해 재론한 결과물이다. 이 작품은 17세기 영국의 The Pilgrim's Progress를 1895년 선교사 게일이 주변의 도움을 받아 번역하고, 김준근의 삽화와 함께 출판한 목판본 서적이다. 그런데 번역문학에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기 때문에 삽입 요소를 통해 새롭게 그 가치를 진단하고자 했다. 본론에서는 삽입시와 삽화를 21개의 서사단락을 근거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구성상 삽입시는 원작에 충실했지만 삽화는 많은 그림을 통해 충실한 줄거리 전달자 역할을 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현의 측면에서 보면 삽입시는 시조와 가사체를 활용하여 원작이나 현대역과 차별되는 역할을 했고, 삽화는 서양본을 참고하되 당대인의 정서에 맞는 풍속화를 활용하여 새로 이미지를 창출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텬로력뎡>은 대중에게 익숙한 전통 문화를 활용한 결과물로서, 서양의 문학을 전통적인 민족 문화를 통해 수용한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텬로력뎡>은 갑오경장의 시대를 맞아 자생적 문화의 역량을 보여준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at inquiring into the identical property of Tyeon-Ro-Ryok-Dyong from it's inserted poems and illustrations. This text is the translation of The Pilgrim's Progress(written by John Bunyan(1628~1688) in England) that was converted by missionary James S. Gale( 1863~1937) in 1895. It contains of the 42 sheets of illustrations by famous painter Kim Jun-geun and 23 pieces of poems. This paper focus on the poems and pictures on the basis of overall organization in narrative structure which was classified with 21 sections by the major incident, and the features of expression. By the research on organizational things, We can find out that the inserted poems stick to original book. But the illustrations are increased to good to convey the story. And concerning to expressional point, inserted poems use a Korean traditional poetry Si-jo and Ga-sa, which act as a motivation of the story line. While the illustrations are based on the traditional genre painting, though some sheets consult western book's pieces. Consequently, this paper let us rethink about modern value of this works, because practical aspect of this book is from Korean traditional medieval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