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간옹의 고문론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어려서부터 사기좌씨장주 등을 비롯하여 제가들의 글을 독파한 간옹은 평생동안 고문을 추구해왔다. 도와 문이 일치되어야 한다고 생각한 간옹은 도가 육경에 있기 때문에 문에서 육경을 근본으로 삼고 제자백가를 우익으로 보았다. 그는 제자백가의 글을 통해 氣變華廉悍感慨 등을 배우고 육경으로 접근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그는 육경에 침잠하여 正과 常을 축적하여 奇와 變을 이끌어 내야 함을 역설했다. 간옹은 聖賢의 문장과 문사의 문장의 分岐가 氣에서 비롯된다고 파악했다. 성현의 문장으로 도달할 수 있는 방법으로 養氣와 知言을 제시했다. 養氣와 知言의 관계는 상보적이지만 이중 간옹은 養氣를 통한 知言을 중시했다. 氣를 길러야 知言을 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문장을 잘하는데는 문로를 바로잡아야 하는데 그것은 지언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그는 고인들의 체제를 두루 익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육경 사서의 체재를 유가는 明理를 위주로, 사한가들은 藻華를 위주로 이해했기 때문에 서로 달라졌다고 본 간옹은 의리논변에서는 염락제현을, 문장에서는 당송대가를 법삼아 明理와 藻華를 갖추어 육경사서로 귀숙해야 함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간옹의 고문론은 육경사서를 主로 삼고 이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로 귀결된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anong's paleography. Ganong, who read writings by wise governments like Sagi, Jwassi, and Jangju from his childhood, devoted his lifetime to the study of ancient writings. Ganong thought that Do should be consistent with Mun, made Yukgyeong a foundation, and considered Jejabaekga right-winger. He suggested a way to learn Gi, Byeon, Hwa, Yeomhan, and Gamgae and to approach Yukgyeong through Jejabaekga's writings. He also emphasized that we should accumulate Jeong and Sang and induce Gi and Byeon, absorbed in Yukgyeong. Ganong thought that the power of sages' and writers' writings came from Gi. He suggested the way of Yanggi and Jieon to reach sages' writings. Although Yanggi and Jieon complemented each other, Ganong thought much of Jieon through Yanggi. He thought Jieon possible after developing Gi. That's because he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correct Munro in order to write well and it started from Jieon. He preached the necessity of learning the style of the writings by the deceased. Ganong thought Confucianist scholars were different from Sahangas because the one understood the style of Yukgyeong Saseo in fame-wealth-centered way of thinking, while the other in blance-oriented way of thinking. He showed that we should return to Yukgyeong Saseo with the balance of fame and wealth by making Yeomrakjehyeon a rule in Uirinonbyeon and masters of Tang and Song in writing. As a result, Ganong's paleography can be concluded as a discussion of the way to approach Yukgyeong Saseo with taking it as a main p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