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고려 후기의 문인 稼亭 李穀(1298-1351)의 시세계를 분석하여 거기에 내포된 세계관을 포착하고, 그것이 자아의식과 어떻게 맞닿아 작품에 형상화되고 있는지를 해명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곡 시세계의 특징은 자아의식을 끊임없이 표출하고 있는 데 있다. 물론 시라는 장르가 내면의식의 표출이며 그것을 言外之意로 잘 표현하는 것에 핵심이 있기는 하지만 모든 소재나 주제가 그렇지는 않다. 그러한 점에서 이곡의 시문학은 대개 이 자아의식과 맞물려 있다는 데 특징이 있다. 특히 전 시기에 걸쳐 표현되고 있는 그의 작품들은 마치 일기를 쓰고 있는 듯 삶에 대한 회고와 반성이 주를 이루고 있기에 이를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은 것이다. 우선 이곡의 현실 인식은 그의 정치관인 天人相關論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사실 성리학적 사고를 지닌 문인들에게서 漢代 董仲舒의 천인상관론을 발견하기란 쉽지 않다. 그런데 이곡은 이 철학적 체계를 끌어 들여 하늘과 인간의 관계를 설정하여, 災異가 인간의 정치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그리고 그 중심점에 백성을 두고서 善政의 이유를 여기에 두었다. 그렇기에 그의 시에는 늘 애민의식이 담겨 있으며, 현실과 이상으로부터 상충하는 관료로서의 고뇌도 형상화되고 있다. 아울러 이곡의 시세계에는 자연을 소재로 노래한 작품군이 많다. 이 작품들에서 확인되는 것은 자연을 매개로 자연스레 발산되는 인생무상적 태도, 인생에 대한 회고, 내면의 정화 등이다. 이는 고려와 원나라 양국에서 벼슬을 하던 한 문인의 당시 환로에 대한 염증, 고향에 대한 향수, 부모에 대한 그리움 등이 모두 녹아 있는 형상화로 보인다. 이곡의 이러한 자연관은 그의 아들 牧隱 李穡이 보여주었던 성리학적 자연관과 다른 형태의 것으로, 여전히 성리학이 깊이 자리 잡지 않은 것을 방증하는 자연관이기도 하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literary view of the poem written by Ga Jeong, Lee-Gok of the latter part of the Koryo dynasty, to grasp the writer's view, and further to interpret how they all are connected to his self-consciousness in order to form the poem. The characteristic of the poem is to keep expressing the writer's self- consciousness. Poem is a genre which certainly expresses internal consciousness: its focus is to picture both internal and external meanings of the poem in the way of finding a meaning outside of writing. However, not all materials and subjects are like mentioned above. In that point of view, the literature of the poem, in general, relates to the self-consciousness. The reason why this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this discussion is because the poem mainly says about self-reflection and reminisce about life. In particular, his writings which are expressed for the whole period make readers as if they are reading diaries. First of all, the awareness of the reality of this poem can be ascertained through the writer's politics: ‘Cheoninsanggwanron’ In fact, the writer thought that ‘Jai’ was related to politics by connecting the idea to the theory of ‘Cheoninsanggwanron’ from ‘Dongjungseo’ which is not easy to ascertain among the literary men, and sett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sky and human beings. And he put the reason for the exemplary government in the people. Therefore, his literary views always contain the spirit of loving people, and are formalized agonies of a government official who suffered from contradiction between reality and ideality. In addition, there are a lot of pieces of works which talk about nature as their subject material in the literary view of the poem. The things that readers can catch from the works are the attitude of uncertainty and reflection of life, purification of one's mind that are naturally expressed. This seems to be contained all agonies of his official career, homesickness of his hometown, and longing for his parents when being in government services both in Koryo and Won dynasty. On the other hand, this view of nature has a different type from Neo-Confucianism that Mok-eun Lee-Saek, his son showed, and it is an evidence that Neo-Confucianism had not been established firmly y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