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문과 교실수업은 한 시간 동안에 여러 단계로 이행해나가는 어느 정도 단계별 시간사용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한문과 수업의 조직과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인사 단계’ 는 교실 전체의 분위기를 정리하고 수업으로 진입하는 길을 열어준다. 또한 ‘전시 학습 확인 및 목표 진술 단계’는 앞에서 배운 내용은 상기하고 교사와 학생 모두가 그날 수업목표를 수행하기 위한 정지작업을 하게 된다. ‘본문 해석하기 교수-학습 단계’는 보통 ⑴ 신습 한자 따라 읽기, ⑵ 본문 따라 읽기, ⑶ 해석하기 절차로 세분하여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정리 및 수업 종료 단계’는 역시 한문과 교실수업의 마무리로서 작용하게 된다. 교실수업은 대화이동을 중심으로 사회적 참여구조가 형성되며, 여러 개의 사회적 참여구조는 ‘본문 해석하기 교수-학습 단계’를 만든다. 그리고 이러한 ‘본문 해석하기 교수-학습 단계’는 한문과 교실수업의 핵심을 이루기 때문에, 한문수업의 대화이동과 사회적 참여구조를 밝힘으로서 한문수업이 지니는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유형을 깊이 이해할 수 있다. 관찰된 한문수업에서 대화이동 양식의 측면에서 교사에 의한 불특정 다수의 학생에 대한 유도와 학생의 반응이 주가 됨을 알 수 있다. 전체 대화 이동 양식의 약 91%이상이 불특정 다수 학생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관찰된 한문 수업의 상호작용은 주로 불특정 학생 전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대화이동 양식과 유도-반응의 단순성이 그 특징이다. 사회적 참여구조(SPS: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의 5가지 유형 가운데 SPS-1유형과 SPS-2의 유형이 고등학교 한문과 교실수업에서 자주 발견되지만 나머지 유형은 자주 발견되지 않는 것이다. 한문교사의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한 유도와 학생의 반응 및 한문교사의 특정 학생에 대한 해석하기 질문과 그 학생의 반응이 한문과 교실수업의 전형적인 사회적 참여구조를 형성하는 내용이라 하겠다. 한문과 교실수업 상호작용에서 보여준 핵심은, 주어진 여러 여건 속에서 한문교사에 의한 최적화 행동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최적화라는 도구적 합리성을 추구하는 교사의 행동에는 자아에 대한 반성이나 자신의 수업과 관련된 성찰이 부족하다. 한문교과의 교육은 효율을 추구하는 최적화 행동으로는 만족할 수 없다. 교육은 교실 내의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도 사실이지만, 동시에 학생 개인의 성장을 도와야 한다. 또한 한문수업은 진도 나가기나 시험에 대비가 아니라 한문교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바로 이러한 점들이 한문과 교실수업의 본질일 것이다. 한문교사는 학교에서 자신의 교수학습 활동을 서로 주고받으며 자신의 수업에서 문제점을 교정할 수 있는 문화가 없다. 학교에서 교사들은 동료교사와 대화를 통해, 자신과 다른 교사의 수업을 관찰하고 서로 반성적인 대화를 나눔으로서 각자의 수업능력을 성장시킬 수 있다. 학교는 이러한 능력향상을 위해 교수학습을 보조하는 환경을 조성해야할 것이다. 이러한 한 가지 방법으로 최근 수업 비평이라는 개념이 부각되고 있다.


The classroom class of classical Chinese is characteristic of time use by stage to some extent to be dedicated to some tasks and to move on to the next step after finishing them for a hour. Structure and constitution of the classical Chinese class is as follows: ‘A greeting stage’ is to create an atmosphere of the whole classroom and to open up a way to enter the class. And in ‘an exhibition learning check and aim statement stage’, contents learned in the early part are recollected and all of the teacher and students come to carry out suspension work in order to accomplish learning objectives of the day. ‘A teaching and learning stage of text interpreting’ is usually composed of procedures of ⑴ Students' repeating reading new Chinese characters after their teacher, ⑵ Students' repeating reading the text after their teacher, and ⑶ interpreting the text. Finally, ‘a summarizing and class ending stage’ comes to perform a function of finishing the classroom class of classical Chinese.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 is built based on dialogue transition in the classroom class, and several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s create ‘the teaching-learning stage of text interpreting.’ And since this ‘the teaching-learning stage of text interpreting’ forms a core of the classroom class of the subject of classical Chinese, it is possible to deeply understand the types of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her students which are created by the classical Chinese class by elucidating dialogue transi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 of the classical Chinese class. Observed classical Chinese class indicates that the teacher's inducement towards many and unspecified students and their responses are main constituents in terms of dialogue transition style. We can find a fact that more than around 91% of the whole dialogue transition style is performed bearing many and unspecified students in mind. Therefore, interactions of the observed classical Chinese class is characteristic of dialogue transition style mainly based on all of many and unspecified students and simplicity of inducement-responses. SPS-1 type and SPS-2 type among 5 types of SPS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 is often found in the classroom class of the subject of classical Chinese in high school but rest of them are not frequently found. It can be said that the classical Chinese teacher's inducement with all of the students, their responses, the classical Chinese teacher's asking specific students to interpret the text and their responses are contents forming typical social participation structure of the classroom class of the subject of classical Chines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core of the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class of the subject of classical Chinese is optimizing behavior by the classical Chinese teacher in given circumstances. However, the teacher' behavior of pursuing instrumental rationality of optimizing lacks in self-reflection or self-examination related to her teaching. Education of the subject, classical Chinese cannot be limited to optimizing behavior of pursuing efficiency. Although it is true that education is performed with all of the students in a classroom, it must help individual students grow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classical Chinese class must try to achieve objectives of the subject, classical Chinese rather than only focusing on regular progress in class or preparing for examinations. These points may be the very essence of the classroom class of the subject, classical Chi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