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소년원생의 인식 조사연구를 통해 소년보호기관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효율적 운영방안을 제시 하고자하는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조사결과 소년원생들은 소년원에 대한 인식이 입소당시에는 좋지 않았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하지만 소년원도 교정시설이기 때문에 느끼는 ‘구속된 생활’이 가장 어려운 점으로 밝혀졌다. 소년원생들은 전체적으로 소년원 입소 후 이전보다 인격적으로나 정서적으로 나아졌다고 스스로를 평가하고 있었고, 특히 부모님에 대한 죄송스러움이 크게 나타나 과거에 대한 후회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소년보호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에서는 직업관련 교육을 학과교육보다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고, 소년보호기관의 교육과정이 실제적으로 크고 작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과정 중 ‘인성교육’, ‘직업능력 개발훈련’, ‘성공적인 사회복귀 지원’등의 프로그램을 매우 좋게 평가하고 있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소년원생의 입소별 구체적인 분류와 이를 통한 체계적인 교육, 선호교육에 대한 개발과 효과적인 적용 등을 정책적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juvenile reformatory inmates'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juvenile protection agencies, with a view to identifying problems and suggesting effective countermeasures against them. Investigations found that the inmates' recognition of the agencies initially started with a bad impression but would turn positive as time goes by. It is also found that what the inmates felt the most difficult was their 'restrained life' in a juvenile reformatory which is a kind of correctional institution. Anyhow, as a whole, the inmates thought that they had improved their character and/or emotion since they entered a juvenile reformatory and, in particular, bitterly regretted of their past days when they contradicted their parents and felt very sorry for that. In connection with juvenile protection agencies' educational courses, the inmates made more of job-related courses than other general subject courses and thought that the courses offered by juvenile protection agencies were practically helpful, more or less, to themselves. In relation to juvenile protection agencies' organizational reshuffle and functional coordination, they especially preferred such programs as ‘education on human nature,’ ‘development of and training in occupational capabilities,’ and ‘support for discharged inmates' successful return to their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