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Nowadays, matter of violence is considered as an ethical problem that ranges from individual existence to social structure and global relations. Violence exists as physical struggle, linguistic dispute, social conflicts and local wars between the two or more individuals, groups, and nations. It means that the violence is not only physical injury or mental harm to an individual, but also lawful punishment or systematic control of social structure. Violence is considered as the phenomenon of destruction of personal mutuality and unbalance of power relation. Ultimately, violence is the question of ethical affair to address personal or social relationship, not the philosophical ontology or sociological structuralism. In this thesis, I criticize that traditional Christian Ethics has dealt with the violence problem in view of value-oriented, one-sided, and ideological perspective. I term this ethical attitude an 'Announcement Ethics'. It is not 'Ethics for Others' but 'Other Making Ethics', not 'Responsible Ethics' but 'Disinterested Ethics', not 'Internal Ethics' but 'External Ethics'. Announcement Ethics basically results from the responsive attitude after violent situation, so have no ability to solve the problem of violent reality. So I focus on the violence mechanism. I try to consider Genocide in terms of violence mechanism. From these analysis, I suggest the new paradigm of Christian Ethics on violence that is not argumental, value-oriented, oversimplified, and ideological, but objective, value-free, multiplied, and post-ideological point of view. So I try to investigate the violence mechanism itself that reflects the operative principle and intimate structure of the power. It will be very helpful to understand the violence on the whole. It is so called 'Christian Discourse Ethics.' In conclusion, I propose "formation of various discourses of Christian Ethics toward the various phenomena of violences." I suggest the three categories of Christian Discourse Ethics, that is, 'Prevention Discourse Ethics' to Pre-violence mechanism, 'Accusation Discourse Ethics' to Violence mechanism, and 'Liberation Discourse Ethics' to Post-violence mechanism. In the Preventive Ethics, I present 'Ethics of Perception', 'Ethics of Sensitivity', and 'Ethics of Discernment.' Accusation Ethics includes 'Ethics of Charging', 'Ethics of Compensation', and 'Ethics of Public Apology'. Finally, Liberation Ethics has 'Ethics of Truth Investigation', 'Ethics of Justice', and 'Ethics of Healing & Forgiving'. Therefore, I suggest that the cycle of violence(repetition, reproduction and expansion of violence) mechanism should be broken up.


Nowadays, matter of violence is considered as an ethical problem that ranges from individual existence to social structure and global relations. Violence exists as physical struggle, linguistic dispute, social conflicts and local wars between the two or more individuals, groups, and nations. It means that the violence is not only physical injury or mental harm to an individual, but also lawful punishment or systematic control of social structure. Violence is considered as the phenomenon of destruction of personal mutuality and unbalance of power relation. Ultimately, violence is the question of ethical affair to address personal or social relationship, not the philosophical ontology or sociological structuralism. In this thesis, I criticize that traditional Christian Ethics has dealt with the violence problem in view of value-oriented, one-sided, and ideological perspective. I term this ethical attitude an 'Announcement Ethics'. It is not 'Ethics for Others' but 'Other Making Ethics', not 'Responsible Ethics' but 'Disinterested Ethics', not 'Internal Ethics' but 'External Ethics'. Announcement Ethics basically results from the responsive attitude after violent situation, so have no ability to solve the problem of violent reality. So I focus on the violence mechanism. I try to consider Genocide in terms of violence mechanism. From these analysis, I suggest the new paradigm of Christian Ethics on violence that is not argumental, value-oriented, oversimplified, and ideological, but objective, value-free, multiplied, and post-ideological point of view. So I try to investigate the violence mechanism itself that reflects the operative principle and intimate structure of the power. It will be very helpful to understand the violence on the whole. It is so called 'Christian Discourse Ethics.' In conclusion, I propose "formation of various discourses of Christian Ethics toward the various phenomena of violences." I suggest the three categories of Christian Discourse Ethics, that is, 'Prevention Discourse Ethics' to Pre-violence mechanism, 'Accusation Discourse Ethics' to Violence mechanism, and 'Liberation Discourse Ethics' to Post-violence mechanism. In the Preventive Ethics, I present 'Ethics of Perception', 'Ethics of Sensitivity', and 'Ethics of Discernment.' Accusation Ethics includes 'Ethics of Charging', 'Ethics of Compensation', and 'Ethics of Public Apology'. Finally, Liberation Ethics has 'Ethics of Truth Investigation', 'Ethics of Justice', and 'Ethics of Healing & Forgiving'. Therefore, I suggest that the cycle of violence(repetition, reproduction and expansion of violence) mechanism should be broken up.


오늘날 폭력의 문제는 인간 개개인의 실존에서 시작하여 사회적 구조, 나아가 지구적 차원의 현실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펼쳐져 있는 윤리적 현상이다. 폭력은 인간과 인간, 집단과 집단, 국가와 국가 사이의 힘의 균형이 깨어지고 어느 한쪽의 일방적 힘의 작용의 결과로 발생하는 일종의 ‘인간 상호성의 파괴’이자 ‘권력 관계의 불균형’에 의해 촉발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폭력은 철학적 존재론이나 사회학적 구조론의 문제이기 전에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질문하는 윤리학의 문제이다. 기독교윤리학에서 폭력의 주제를 다루기 위해 필자는 지금까지 신학에서의 폭력 논의가 이른바 ‘입장표명의 윤리’임을 지적한다. 전통적 기독교윤리의 패러다임이라 할 수 있는 이 윤리적 태도가 갖고 있는 가치개입적, 일방주의적, 그리고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비판함과 동시에 이를 ‘타자의 윤리’가 아닌 ‘타자화의 윤리’로, ‘책임의 윤리’가 아닌 ‘제삼자적 윤리’로, ‘내재적 접근의 윤리’가 아닌 ‘외재적 접근의 윤리’로 정의한다. 무엇보다도 입장표명의 윤리는 현실의 윤리적 문제들에 대한 해결 능력에 있어서 절대적 빈약성을 갖고 있다. 이는 입장표명이 갖고 있는 사태 이후적 처리 태도에서 기인한다. 입장표명의 윤리로 폭력에 대응하는 전통적인 방식에 대한 필자의 비판은 새로운 형태의 폭력 탐구에 대한 방법론적 대안의 필요성을 요구받는다. 타자화된 대상으로서 폭력의 문제를 가치판단적 전제를 가지고 규정하고 비판하는 윤리는 이제 폭력의 현실을 대면할 능력을 상실하고 있다. 이제 폭력에 대한 새로운 윤리는 폭력을 현상 그 자체로부터 탐구하는 데서 다시 시작해야 한다. 폭력의 현상 속에 숨어 있는 힘의 논리, 작동 원리, 이른바 메커니즘에 대한 분석적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 성찰만이 오늘날 기독교 폭력 윤리에 요구되는 패러다임이다. ‘개념’에서 ‘현상’으로 이어지는 탐구 과정이 아니라 ‘현상’으로부터 출발하여 ‘본질적 개념’에 이르는 탐구 과정을 거쳐 폭력의 실재를 다루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폭력의 기원적ㆍ본질적 형태인 제노사이드 현상에 대한 메커니즘 이론을 통한 분석을 통해 폭력 인식의 지평을 확장한 후, 이에 대한 기독교 담론윤리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른바 폭력의 문제를 놓고 입장표명식의 반응으로 일관하는 전통적인 윤리적 태도에서 벗어나 이를 가치중립적, 책임적, 그리고 탈이데올로기적으로 이해하고, 현실을 해결할 수 있으면서도 대상 자체에 대한 내재적 접근을 가능하게 할 기독교윤리학의 방향은 무엇인가? 이에 대한 대안으로 ‘다양한 폭력의 현상에 대한 다양한 기독교 담론의 윤리 형성’을 제시한다. 제노사이드 현상에서 나타나는 폭력 메커니즘은 크게 세 가지로 대별되는 바, ‘폭력 전조 현상’, ‘폭력 실행 현상’, 그리고 ‘폭력 이후 현상’이 그것이다. 이에 대한 기독교 담론의 윤리는 폭력 전조 현상에 대해서 ‘기독교 예방담론의 윤리’로, 폭력 실행 현상에 대해서는 ‘기독교 고발담론의 윤리’로, 그리고 폭력 이후 현상에 대해서는 ‘기독교 해방담론의 윤리’로 제시된다. 기독교 예방담론의 윤리는 ‘인지의 윤리’, ‘감지의 윤리’, 그리고 ‘분별의 윤리’로 구체화되며, 기독교 고발담론의 윤리는 ‘법적인 책임을 묻는 윤리’, ‘경제적 배상의 윤리’, 그리고 ‘정신적 보상의 윤리’로 대별된다. 그리고 기독교 해방담론의 윤리는 ‘진실 규명의 윤리’, ‘정의의 윤리’, 그리고 ‘치유와 용서의 윤리’로 나타난다. 해방담론의 윤리는 곧 ‘회복의 윤리’이다.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 , , , , , , , , , , , , , , , , , , , , , ,

폭력, 제노사이드, 메커니즘, 입장표명 윤리, 이데올로기, 조직화, 타자화, 동질화, 고립화, 광기화, 상호보복화, 절멸화, 부정화, 정당화, 폭력 전조 현상, 폭력 실행 현상, 폭력 이후 현상, 예방담론, 고발담론, 해방담론, 인지의 윤리, 감지의 윤리, 분별의 윤리, 법적 책임의 윤리, 배상의 윤리, 보상의 윤리, 진실규명의 윤리, 정의의 윤리, 치유와 용서의 윤리, 회복의 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