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현재 진행 중인 민족/탈민족 논쟁의 선상에서 한국 토착화 신학의 유효함과 가능성을 변증할 목적에서 쓰여 졌다. 첫 장에서는 삼재론에 근거한 한국 적 주체성이 타자를 부정하는 서구의 초월적 주체성은 물론 식민지 상황에서 생겨난 저항적 주체성과는 다른 것으로 세계성을 담보한 문화적 차원을 지녔음을 강조했다. 둘째 장에서는 A. 네그리의 <제국>이 비판하는 민족주의를 재비판하는 내용을 담았다. 마르크스를 포스트모던 적으로 이해하는 것으로 민족주의를 탈할 수 있다는 것의 논리적 억지와 현실적 한계를 적시한 것이다. 다음으로 J. 리프킨의 <유로피안 드림>의 내용을 네그리의 대안으로 제시했다. 즉 다양한 민족, 언어, 종교로 구성된 유럽 내에서 공통감에 근거한 유럽통합이념과 통일헌법이 마련된 정황을 숙고하면서 민족개념과 아나키스트의 양자텍일을 요구하는 네그리의 현실적 한계를 재론한 것이다. 마지막 장에서는 리프킨 역시 서구 중심적 한계를 노정하였기에 삼재론에 터한 한국의 문화적 민족주의의 빛에서 네그리의 다중개념과 다석 유영모의 얼 기독론을 접목하여 수행적(토착적) 기독교의 알짬인 ‘다중기독론’을 제시했다. 다중기독론 하에서 민족/탈민족간의 소모적 논쟁을 지양하는 담론을 토착화 신학의 새 차원으로 적시한 것이다.


This Article is aiming to stress on a usefulness &possibility of the Korean indigenous Theology beyond the debate between Nationality & Post-nationality. In first chapter, this article has focused on a cultural Horizon of Korean Subjectivity grounded the theory of three foundation(삼재론), which is different from a not only western transcendent subjectivity, but also a colonial subjectivity. Second chapter has concerned on the Analysis and Critic about the A. Negries <Empire>, which contents mainly are consist of a approval about the Post-nationalism. Because it is not impossible to liberate a Nationality from the point of post-modern reinterpretation about Marxism. In next chapter, we have introduced the J. Rifkins <European dream>, in which it matters the idea of Eropean Integrals(union). Although Europeans are consists of different nations, religions, and cultures, they created integrated nations as european dream on the grounded of the common sense. So it's proved, it is not impossible to choose one between narionalism and anarchism according to A. Negries. Finally this Article has suggested a new discourse. Namely we have tried to reinterpret Negries 'Minjung with Singularity'(다중) ‘Ul-Christology' Dasuks(다석). In this new term we expect to be overcomed the western debate between Nationalism & Post-nation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