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서의 기초자료중 하나인 마부륵 조항을 연구한 것이다. 마부륵 15개 조항은 1529년 10월 신학적이며 동시에 정치적인 동기에서 이루어진 루터와 츠빙글리 진영의 회담의 산물이다. 헤센의 필립이 개혁진영의 연대를 도모하고자 양자간의 종교평화회담을 주선했다. 1525년부터 성만찬에 대한 이해 문제로 독일과 스위스 개혁자들 사이에 미묘한 대립이 커가고 있었기 때문이다. 루터를 주축으로 한 비텐베르크 신학자들과 츠빙글리를 선두로 한 스위스 개혁자들이 함께 모여 개신교 신앙고백의 핵심적인 주제를 다루고 합의를 도출했다. 하지만 성만찬 이해에 있어서는 끝까지 이해의 폭을 좁히지 못했다. 따라서 루터와 츠빙글리의 상이한 성찬이해를 논할 때마다 마부륵 조항, 특히 열다섯 번째 조항은 각별한 신학적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또 다른 시각에서 보면 마부륵 조항은 성만찬을 제외한 주요 신학적 주제에 대하여 국가간 경계를 넘어선 합의를 도출했고, 슈바바흐 조항 못지않게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서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제까지의 신학적 관심이 성만찬과 연관되어 열다섯 번째 조항에만 머문 것과는 달리 본 논문은 마부륵 조항 전체를 아우르며,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서의 기초자료로서 신학적 연계성및 종교개혁적 의미를 찾았다.


This article is to study on the Marburg Articles based on one of the fundamental materials of the Augsburg Confession. The Marburg 15 Articles were the result of conference between M. Luther and U. Zwingli that was taken place in theological and political motive in October 1529. Philipp in Hessen arranged this religious peace conference in order to promote the solidarity of the reform groups. Since 1525 there were subtle oppositions between the Germany and Swiss reformers because of the problem of the Eucharist. The theologians in Wittenberg who support M. Luther had finally a common understanding with theologians in Swiss including U. Zwingli about the important topics of the Protestant Confession. But there was a difference of opinion each other with reference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Eucharist. When therefore diverse interpretations of the Eucharist between Luther and Zwingli were debated, the Marburg Articles, especially 15th Articles had received special theological attention. When view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e Marburg Articles was the result beyond the national boundaries about the major theological themes except the Eucharist, and it gave a big impact on the formation of Augsburg Confession as the Schwabach Articles. The theological interest by this time was related to the Eucharist in the 15. Articles, but this article deals with all Marburg Articles and it found the meaning of theological and religious reformist connection as the fundamental material based on the Augsburg Conf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