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의 목적은 16세기 중국에서의 예수회 선교사 마테오 리치의 ‘적응주의’ 접근을 반성의 시작으로 삼아 세상의 종교 사이의 평화로운 공존을 확립하기 위한 실제적 대화 방식을 제안하는 것이다. 우선 리치의 적응주의 선교전략을 그 역사적 맥락에서 고찰한 후에 그 전략의 한계를 특히 21세기 포스트 식민주의 시대의 관점으로부터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그런 연후에 조화를 핵으로 하는 한국의 종교 사상의 통찰을 기반으로 하여 문화 사이의 보다 더 나은 대화 방식을 모색해 보는데, 특별히 매우 큰 중요성을 가지는 현대세계의 문제인 종교들 사이의 평화로운 공존을 염두에 두면서 탐구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평화를 위한 종교 간의 대화의 보다 성숙한 방식이 가져야할 필수적 요소들로서 종교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종교의 자기비판, 종교내의 대화, 그리고 연대성의 다양한 사회적 실천들과 함께하는 실제적인 대화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practical dialogue for establishing peaceful coexistence among religions in the world, by starting from a reflection on the Jesuit missionary Matteo Ricci's ‘accommodation’ approach in the 16th century China. Having considered first his strategy of accommodation in its historical context, the paper, however, investigates critically the limitation of such a strategy, especially from the stance of the current postcolonial era. It, then, by drawing upon the insight of Korean religious thought of harmony, attempts to deliberate on a better mode of dialogue between cultures, especially in view of peaceful coexistence of religions, which is the special issue and concern of prime importance in the contemporary world. Accordingly, the paper suggests crucial elements required for a more mature way of doing interreligious dialogue for peace: (1) self-critique of religion with regard to its ideology, (2) intra-religious dialogue and (3) practical dialogue with various social praxis of solida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