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난 15년 동안 영산강과 서남해안 일대에서 100여 지점이 넘는 구석기유적이 조사되었다. 이지역에 대한 연구는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를 통해 얻은 유물들을 분석하는 전통적인 고고학 연구 뿐아니라 절대연대(OSL, AMS 등)를 통한 편년적 틀 확립, 영산강 유역의 단구연구를 통한 인류의 점거 방식 연구, 고토양분석 및 화분분석을 통한 기후환경복원, 휴무스층 분석을 통한 인류의 점유시기에 대한 연구, GIS를 활용한 구석기시대 유적 분포와 단구의 연관성 연구, 화산재 연구를 통한 고고학 편년 검증, 송월동유적에서의 유적 재퇴적 현상 연구, 장동리 용동유적의 표준 층위연구, 중기구석기에서 후기구석기시대에 이르는 문화복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가설들을 제시해 왔다. 이러한 구석기고고학과 제4기 지질학 연구의 결과 대략 중기구석기시대부터 후기구석기시대 말기까지 영산강 유역의 자연환경에 기반 한 인류의 적응과정이 복원되었다. 이와 같이 구석기고고학과 제4기 지질학을 접목하는 궁극적인 지향점은 이 지역에 대한 연구가구석기고고학으로 한정하지 않고 진정한 의미에서의 제4기학 연구가 진행되어 구석기시대 사람들이 영산강과 서남해안 일대를 점거하며 남겨놓은 것들에 대한 문화복원을 온전히 시도하는 데에 있다. 앞으로 이러한 연구 방향은 고고학이 전통적 인문학의 범주에 머무르지 않고 검증이 가능한 ‘과학으로서의 고고학’을 지향하는 기초가 될 것이다.


For the past 15 years, over 100 Paleolithic sites had been researched around the Youngsan river and southwest coast. Those researches in the areas were a traditionally archeological studies to analyze artifacts taken by surface researches and excavations, and has suggested hypothesis on various arguments as well; for examples, the establishment of chronological frame by OSL and AMS, the study on the way of human occupation by the research about the terrace around the Youngsan river, the reconstruction of climatic environment by paleosol and pollen analysis, the study on the human occupation period by humus analysis, the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distributions of Paleolithic sites and terraces by GIS, the examination of archeological chronicle by tephra analysis, the study on the redeposit phenomenon of artifacts in Songwoldong site, the study on the standard level in Jangdongri Yongdong, a cultural restoration from Middle Paleolithic to Upper Paleolithic, etc. As the achievements of the studies of Paleolithic archeology and Quaternary Geology, it was restored to human being's adaptation process based on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e Youngsan river from Middle Paleolithic to Upper Paleolithic. With the process of authentic Quaternary-Geological study which is not limited in the field of Paleolithic archeology, the ultimate goal to connect paleolithic archeology with Quaternary Geology puts on soundly experiments for a cultural restoration about remains occupied by a paleolithic man in the Youngsan river and around southwest coast. The futuristic study direction would be a foundation intending to 'an verifiable archeology as a science' not just staying in the category of traditional human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