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에 재조일본인에 대한 연구들이 조금씩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개항이후 1914년까지 존속했던 일본인들의 자치조직인 거류민회 또는 거류민단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거류민회와거류민단시기 일본거류민들이 형성한 인적사회적 네트워크는 1920년대 각종 부협의회와 학교조합등을 통해 화려하게 부활하게 된다. 따라서 거류민회와 거류민단에 대한 이해는 일제강점기 지역사회와 지배엘리트들의 동향을 파악하는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된다. 부산으로 건너온 일본인들은 반관반민 형태로서 자신들의 자치조직인 거류민회를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부산의 일본거류민회 조직정비는 1879년 7월 자치사무와 행정을 담당하는 용번소(用番所)와 상거래 업무를 맡은 상법회의소로 업무를 분장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1881년 1월 보장총대선거규칙을 통해 관선이었던 보장두취를 민선으로 뽑고 거류지편제가규칙을 통해 거류민회의원을 선거하였다. 이것이 거류지 최초 자치조직의 시작이었다. 이후 1887년 8월과 1893년 3월 각각의 거류지편제규칙을 개정하면서 부산의 일본거류민 자치조직이 완비된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정비된 선거규칙들은 1878년 일본에서 실시된 신삼법(新三法)에 기초한 지방자치제도로부터 일정 정도 영향을 받고 있었다. 한편 부산의 일본거류민회 또는 부산거류민단의 임원들을 분석하면 세 시기별 특징을 발견할 수있었다. 첫째 초량왜관시기에서 청일전쟁직전까지의 시기(1기)는 주로 쓰시마(對馬島) 출신 상인들이용번․보장두취․거류인민총대 등으로 불리면서 거류민 자치의 수장직을 다수 차지하였다. 둘째,청일전쟁 이후 러일전쟁까지의 시기(2기)는 주로 행정, 경찰, 교육가와 같은 전문가 출신자들이 거류민 자치기구를 이끌었다. 이들의 출신지는 나가사키현(長崎縣)과 야마구치현(山口縣)이 다수였다. 셋째, 러일전쟁 이후 1914년 거류민단이 해체될 때까지의 시기(3기)에는 전문 경제인들이 거류민단의 대표를 맡았고 이들의 출신지 또한 야마구치현과 후쿠오카현(福岡縣)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 시기에 후발주자로 나섰던 후쿠오카 출신들이 거류민단의 대표에 다수 포진했다는 것은 후쿠오카 출신자들이 러일전쟁 이후 빠른 속도로 기존의 야마구치현과 나가사키현 출신자들의 장벽을 뚫고 자신들의 영역을 확장했음을 뜻한다. 부산의 거류민회와 부산거류민단의 경상세입 중 특징적 요소는1885년 4월부터 거류민회에서 병원을 운영했다는 점이다. 병원으로부터 들어오는 세입은 금액이큰 것은 아니었지만 거류민단을 운영하는데 안정적인 세입원이 될 수 있었다.


In August of 1879, Japanese government placed ‘Bojangduchui(保長頭取)’ and ‘Bojangduchuiyeokjang(保長頭取役長)’ in the settlement at Busan port in an effort to control autonomous office work of its residents. And then, it put a rule of 'Bojangchongdaesungeo(保長總代選擧)' and ‘Georyujipyeonjega(居留地編制假)’ into practice in January 1881. This marked the start of its self-governing system operated in Korea as well as Busan port. After that, the settlement dwellers in Busan revised the rule of ‘Georyujipyeonje’(居留地編制規則) in August 1887 and March 1893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the newly-amended regulation was influenced, to a greater or lesser degree, by Local Government Election Act in ‘Shinsambeop(新三法)’which came into force in 1878 in Japan. A settlement corporation in Busan appeared, in accordance with the promulgation of Settlement Corporation Act in March of 1905 and the enforcement rule of settlement corporation in July 1906. On the one hand, the analysis of the member of the settlement council shows that merchants from Tsushima in Japan had taken control of the corporation until it was abolished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As time went on, however,ones from Nagasaki and Yamaguchi prefecture increased and a type of business diversified. In particular, as of Russo-Japanese Wars, it was noticeable that a lot of people from Fukuoka entered the council. The finance of the Japanese settlement corporation in Busan let us know that it owned its property that corresponded roughly to 45% of the property of the settlement organization around the country. Also, total revenues of the body tell that the income of the hospital that was run by the body wasn't low. And the cost of operating, education, and sanitation made up a large portion of its expenses. Therefore,understanding of the elite class in Japanese settlement corporation can be a key point to learn about the ruling class in the area of Bu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