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그들의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으로써, 아동·청소년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사회복지 관련기관(종합사회복지관,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문화의 집, 청소년수련관)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저소득층의 아동·청소년들이며(초등학교 4학년~중학교3학년), 최종적으로 771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먼저, 발달시기에 따라 아동(467명)과 청소년(304명)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별 행복감과 사회적 지지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성별, 학년, 가족구조, 경제상황, 학교성적을 통제변수로 두고, 행복감(인지적 행복감, 정의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가족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 집단이 아동 집단보다 낮은 행복감을 느끼고, 사회적 지지에 있어서는 아동 집단이 청소년 집단보다 가족과 교사로부터의 지지를 더 많이 받고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상대력 영향력은 가족지지가 아동, 청소년 집단 모두에서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고, 다음으로는 친구지지도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동·청소년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효과적 개입 방안으로 청소년문화복지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정책 개발의 필요성, 부모교육 및 가족구성원 간의 관계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확산, 또래집단을 활용한 프로그램 활성화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effective intervene methods for improving happiness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through analysing how perceived social support influences on the happiness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who are from low-income families. Children and young people(aged from 4th grade primary schools to 3rd grade middle school) who receive social care from various social service providers in Busan were surveyed, and in total 771 numbers of survey questions were analysed. Firstly, this research looked 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eeling of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eriod such as children and young people. Secondly, this research tried to find how social supports from family, teachers and friends can influence in happiness increase under the control variables(gender, grade, family, economic statu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first research finding was that young people felt less happiness than children, and children have more support from family and teachers than young people. The second finding was social support, in particular, family support was the biggest influence in the happiness for both children and young people. Then friends support was the second influence for the happiness.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findings, this research suggests several effective intervene methods for developing of the happiness for the children and young people; needs of active interest on youth culture and welfare and developing of the policies ; promotion of programme which help to relationship building between members of families and parental education programme; encouraging peer programmes the efficient intervene ways of improving happiness among children and young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