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treatment and perception of youth language culture in the mainstream British media, employing corpus methods. A corpus comprising 100 articles collected from BBC and five British newspapers is used for analysis. The finding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ly, the teenage use of slang is presented as an issue that causes difficulties in building relationship between young people and their parents/ teachers. Secondly, it is presented as a problem that disadvantages young people in achieving success in exams and employment. Lastly, young people and adults are construed as recipients of some form of intervention with adults needing help to understand the teenage language and young people needing instructions and discipline to stop them from using slang for their own benefit.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study to the field of youth language culture is that it has brought in a perspective of discourse analysis, expanding the scope of youth language study as it is shown that the media representation of young people and youth language in South Korea is an area of research that is yet to be fully explored. Another contribution is that it has sufficiently demonstrated the viability of using corpus methods, which are also yet to be widely employed in studying youth language in South Korea. The bottom-up approach to data in corpus analysis is effective in minimizing an analyst's own agenda and preconceptions influencing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nd thus strengthening the interpretive rigor. For future research, one meaningful avenue of research to consider is how young people from families of North Koreans settled in South Korea or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viewed in terms of their linguistic identity and experience of adapting to the new language culture in the media. Understanding how our society views and treats these minority youth groups may help raise public awareness on tolerance and diversity, and develop and implement better policies and programs to educate and foster linguistic integration and understanding among South Korean youths.


본 연구의 목적은 코퍼스 언어분석 방법론을 사용하여 영국의 주요 언론에서 비속어(slang)으로 대표되는 영국 청소년 언어문화를 어떻게 다루고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BBC를 포함한 영국의 주요 미디어에서 2000년대 이후 청소년 언어사용을 다룬 기사 100개를 수집해 구성된 코퍼스를 분석하였다. 코퍼스 분석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영국 미디어에서 청소년들의 언어문화는 청소년들과 그들의 부모님과 선생님 사이의 관계적 문제로, 특히 양자 간의 소통의 문제로 제시가 되고 있다. 둘째, 청소년들의 비속어나 유행어 사용은 성공적인 학업성취와 취업에 장애로 작용하는 우려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과 성인들 모두 국가나 사회의 도움이 필요한 수동적인 존재로 제시되고 있다. 즉 청소년들은 대학시험과 취업에서 유리하도록 언어사용에 대한 지도와 통제가 필요한 존재로, 그리고 성인들은 청소년의 언어를 이해해 그들과 소통의 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대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언어문화 연구에 담화분석을 적용한 연구로서 한국에서는 아직 많이 시도되지 않는 영역으로 청소년언어 연구의 지평을 확장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방법론적으로 코퍼스언어학을 접목시키고 있다. 코퍼스 방법론 사용의 가장 큰 장점은 자료를 접근할 때 분석자의 주관적 관점이나 목적에 의해 분석과 해석의 방향이 결정되어지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분석과 해석의 엄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향후 연구로는 코퍼스를 사용하여 북한이탈 청소년과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언어문화와 정체성이 한국 언론에서 재현되는 방식을 살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