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일몰입을 청소년지도자의 근무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매개변수로 가정하고, 청소년지도자의 개인자원과 직무자원, 보수만족이 일몰입과 근무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조방정식 모형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전국의 청소년시설에 종사하는 청소년지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368매의 설문지 중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42매를 제외한 326매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는 Amos 22를 통해 분석되었다. 조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지도자의 일몰입은 근무지속 의지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지도자의 개인자원과 직무자원은 일몰입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반면, 보수만족은 일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지도자의 직무자원과 보수만족은 근무지속 의지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반면, 개인자원은 부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몰입을 매개로 하여 개인자원과 직무자원, 보수만족이 근무지속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 결과 개인자원과 직무자원은 일몰입을 매개로 하여 유의한 간접효과를 가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들이 갖는 시사점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relationships among personal resources, job resources, salary satisfaction, work engagement, and intention to continue working of youth worker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presented to describe the hypothetic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In the model, work engagement of youth workers was assumed as a mediate variable. 326 Youth work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five latent variables(personal resources, job resources, salary satisfaction, work engagement, and intention to continue work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ork engagement had positive effects on changes of youth workers' intention to continue working. Second, work engagement was directly affected by personal resources, and job resources. Third, youth workers' intention to continue of working was directly affected by personal resources, job resources, and salary satisfaction. Fourth, indirect effects of personal resources and job resources were mediated by work engagement. All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for youth work organizations and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