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도구성> 절단 동사의 분절 구조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으로 삼는 어휘는 모두 15개로 이들 목록은 어휘 빈도수에 의해서 대표성을 띠는 것을 선별하였다. 그 목록은 ‘가르다, 깎다, 끊다, 도리다, 마르다, 바르다, 베다, 썰다, 오리다, 자르다, 째다, 쪼개다, 저미다, 켜다, 패다’이다. 이들은 <분리성>, <예리성>, <정밀성>, <정형성>, <방향성> 등에 의해서 각각 하위 영역으로 분절된다. 인간과 동물을 구분하는 여러 가지 근거 중에 하나가 도구의 사용이고 선사시대 인류가 돌을 깨서 가죽을 자르거나 살을 바르는 데 이용해온 것을 보면 손과 도구를 이용해서 사물을 용도에 맞게 절단하는 행위는 인류 보편적인 행동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절단 동사의 분절구조를 살펴보는 것은 한국어 모국어 화자의 정신세계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This paper aims to study relative positions in the Korean semantic field of transitive verbs related to the meaning of 'cutting' with tools. The study deals with 15 typical verbs which are selected based on frequency of use The list includes 'gareuda, kkakkda, kkeunhda, dorida, mareuda, bareuda, beda sseolda, orida, jareuda, jeomida, jjaeda, jjogeda, kyeoda, paeda'. They are first of all classified by 'accuracy of cutting' and then are classified into sub-fields by the criteria of 'separability of objects', 'shapes of objects', 'methods for cutting' and so on. It is well known that what makes human beings different from animals is the use of tools. Human beings have cut leather and flesh of animals ever since they appeared on the earth, so the behavior of cutting is universal for the human race. Thus, this paper help to understand the inward cognitive structure of the Koreans by establishing the wordfield which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