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최초의 기록 악장인 고려 예종 때의 <구실등가>를 중심으로 이 작품의 성립 배경과 의미를 살피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예종은 집권 초기 부왕 숙종의 유업을 계승함으로써 왕권 강화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유업인 여진 정벌과 천수사 창건 사업은 현실적 문제와 신료들의 반대로 성공을 거두지 못했으며, 부왕 숙종의 권위와 예종 자신의 왕권까지 위축되고 말았다. 그리고 오랑캐로 여겼던 거란과 여진이 고려의 존립을 위협하는 요소로 번갈아 작용하면서 예종은 대내적으로는 약화된 왕권을 고민해야 했고, 대외적으로는 체재 존립에 대한 고민을 더하게 되었다. 예종은 이러한 위기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송과의 적극적인 교류를 추진하였다. 송의 선진 문화를 받아들임으로써 대외적 위협을 문존(文尊) 의식으로 극복하려 했고 송 휘종 역시 거란ㆍ여진의 위협을 고려와 공동으로 대처하기 위해 문물을 공유함으로써 동맹을 강화하려 했던 것이다. 그 최종 선택이 대성아악의 수입이었다. 이러한 대성아악을 바탕으로 한 <구실등가> 악장의 성립은 예종에게 강력한 왕권 회복 의지를 담기에 적합했다. 송의 아악과 태묘악장을 일정 정도 수용하면서도 9실을 마련하여 직계 3대를 7실에 모시고, 그들을 거듭 예찬하는 악장을 제작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실등가>의 성립에는 대외적으로 송과 아악을 공유하여 요ㆍ금을 배척하고자 하는 의식과 대내적으로 당대 손상된 (부왕의 권위를 포함한) 왕권을 회복하기 위한 의식이 자리 잡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작품의 악장사적 의미는 크게 둘로 볼 수 있는데, ‘9실 악장 정립’과 ‘복수(複數)의 악장을 통한 대상 예찬의 극대화’가 그것이다. 이렇게 <구실등가>가 만들어 놓은 장치는 조선시대 각종 제례 악장에서 계승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stablishment background and meaning of this work focused on <Gusildeungga> in Yejong in Goryeo Dynasty. Yejong would like to strengthen royal power by succeeding the inheritance of Sukjong, his father, in the initial ruling period. However, it was not successful to succeed the inheritance which included subjugation of Yeojin and project to build Cheonsusa due to practical issues and objection of lieges. Thus, both authority of his father, Sukjong and his throne fell down to the ground. As Georan and Yeojin that were considered barbarians worked as elements to threaten the existence of Goryeo Dynasty, Yejong worried about weakened royal power internally and he worried more about existence of Dynasty externally. In order to get out of this crisis, Yejong actively promoted to have relationship with Song Dynasty. He tried to get over the internal and external threat with sense of munjon (admiration of literary) by accepting the advanced culture of Song Dynasty and Hwijong in Song Dynasty tried to strengthen the alliance in order to cope with threats of Georan and Yeojin by sharing civilization with Goryeo Dynasty. His final choice was the importation of Daeseongaak. Establishment of <Gusildeungga> Akjang based on Daeseong Aak reflected the Yejong’s will of recovery of strong royal power. The reason was that 9 rooms were built in which direct line of 3 generation was accommodated in 7 rooms, and Akjang to glorify them more was created while accepting Song’s Aak and Taemyo Akjang at a certain level.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establishment of <Gusildeungga> was based on senses to reject Yo and Geum Dynasty externally by sharing Aak with Song Dynasty, and regain the damaged royal power(including authority of hisfather) internally. Inaddition, meaning of this work in the Akjang histor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kinds such as ‘establishment of 9rooms Akjang’ and ‘maximization of subjects to be admired through multiple Akjang’. The system to create <Gusildeungga> became the chance to be inherited and developed in Akjang in various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in Joseon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