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일환으로서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내용과 방법이 지니는 인문교양교육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자기 성찰적 글쓰기는 ‘성찰과 탐색’의 측면과 ‘자기 창조’의 측면에서 인문교양교육의 강화라는 대학교육의 커다란 흐름에 부합한다. ‘자기 성찰적 글쓰기’는 자신의 삶과 존재에 관한 문제를 기초적인 데로부터 고민하고 반성하여 스스로 얻어낸 깨달음을 적는 글쓰기 장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글쓰기 자체가 지니는 자구적 치유의 효과라고 할 수 있다면 글쓰기 교육은 스스로 의미를 구하는 성찰과 공감의 과정에 특별한 관심을 둘 필요가 생긴다. 글쓰기의 과정은 성찰적 주체를 형성하거니와, 그 과정에서 치유와 성장의 공간도 열리는 것이다. 글쓰기에서 ‘치유’는 목표가 아니라 효과로 이해되어야 한다. 글쓰기의 치유는 치유라는 실용적 목적을 버림으로써 치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합평이 지니는 인문교양교육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글쓰기의 방법으로서 ‘관점’과 ‘거리’가 인문교양교육의 실천으로 접근하는 경로를 검토하였다. 합평은 글에 대한 공감적 소통으로서의 토론을 가능하게 한다. 일화와 생활 감정의 보편성이나 개인성을 필자와 합평자가 공유하고 각자 서로의 체험과 정서를 이해하는 폭을 넓히는 것이다. 또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는 ‘자신의 눈’(관점)으로 자신의 체험과 감정을 바라본다는 것이고, 바라본다는 것(생각한다는 것)은 자신의 체험과 감정을 ‘대상으로 둔다는 것’(거리)이다. ‘관점’과 ‘거리’는 자신을 압도하지만 스스로 어떤 해명도 구하지 못했던 혼란스러운 감정들에 질서를 부여할 수 있는 공간을 열어준다. 글쓰기와 합평이 누적됨에 따라 학생필자들은 보편적인 관점과 상식적인 관점을 재구성하고, 그럼으로써 각자 스스로 관계성 속에서 공통감각을 형성해나간다. 이런 과정은, 동시에 학생필자 스스로 자신을 포함한 이 세상의 존재를 이해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상상력과 공감능력을 기르는 과정과 맞물려 있다. 타자에 대한 상상력과 몸과 마음으로 감지하게 하는(혹은 감지하는) 호소(혹은 수용)는, 쓰는 이(읽는 이)나 말하는 이(듣는 이)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생각하고 자신의 삶을 스스로 해명하며 치유와 성장으로 나가게 해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Self-Reflection Writing that is the contents and format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as liberal arts education. Self-Reflective W Writing is in line with a large flow of the strengthening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erms of ‘reflection and self-creation’Self-Reflection Writing is Writing Genre, that is to write self- enlightenment and reflection about one’s life and one’s existence problem. And it makes writers to be healing and grow for oneself. The healing in Writing has to be understanded not the target but the effect. The Healing Effect in Writing can be obtained by giving up the goal of healing.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d meaning of Self-Reflection Writing and Discuss Writing as liberal arts education, and education method of ‘view point’ and ‘distance’ for effect practice of liberal arts. Discuss Writing allows to widen thebelt of consensus for the essay. Self-Reflection Writing is that writer watches his experience and emotion by his point of view, and looks at the experience is that writer keeps a distance. ‘Point of view’ and ‘distance’ give the composure of organizing confusion to ours. As the Writing and discuss writing cumulative, writer recognizes common sense and then gains common sense in the relationships for oneself. These process is process that writers grow up imagination and empathy. Imagination and empathy make writer and reader to be healing and to be growing though deeply thinking one’s problem and being convinced one’s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