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한국어 중급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 대인관계적 기능과 그 구현 양상을 분석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의 대인관계적 기능의 수행 능력을 정교화시키기 위해 대화문 구성에서 보완해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를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대인관계적 기능과 그 구현 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항목으로 대인관계적 기능을 선정하고 그 전략을 분석할 방법을 제시하였다. 한국어교육 전문가 집단과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18개의 대인관계적 기능을 선정하였다. 대인관계적 기능의 분석은 Brown & Levinson(1987)의 공손 이론과 김미령(2005) 등에서 제안한 발화의 화행 유형을 참고하였다. 분석 교재는 한국어 중급 교재 네 권을 선정한 후 교재 대화문의 언어 외적 맥락과 개시 발화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언어 외적 맥락의 분석 결과 낯선 관계의 사람들이나 지위․나이의 차이가 있는 사람들이 대화 참여자로 등장하는 경우가 매우 적고, 개인적이고 일상적인 장면에 비해 사회적이고 공식적인 발화 장면이 부족하다는 것을 문제로 지적하였다. 개시 발화의 분석 결과 3급 교재에서는 반응 요구 목적의 발화가 70% 이상을 차지했으나 4급 교재에서는 전달 목적의 발화가 다소 증가하였음을 파악하였다. 대화문에 나타난 대인관계적 기능을 분석한 결과, 대화문의 주 기능으로 대인관계적 기능이 구현된 횟수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으나 대화문의 일부 기능으로 대인관계적 기능이 구현된 횟수가 적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또한 대인관계적 기능이 주 기능으로 구현된 경우에도 구체적인 발화 전략을 통해 대인관계적 기능의 구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적극적 공손 전략과 관련해서는 공감대 형성 전략이 주로 사용되고 소극적 공손 전략과 관련해서는 질문․완화 표지 전략 주로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대인관계적 기능의 발화 전략이 구현된 발화의 후행 발화는 수용적 화행이 많았으나 내용 확장식 응대나 제보적 문장이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 대화문을 통해 대인관계적 기능의 구현 양상에 주목하는 활동을 하기 어려운 이유가 될 것으로 지적하였다. 한국어 학습자들의 대인관계적 기능의 수행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대화 참여자의 관계를 다양화하고, 사회적이고 공식적인 발화 장면을 늘려야 하며, 대인관계적 기능을 대화문의 주 기능으로 선정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대화 참여자들이 비슷한 양의 정보를 교환하는 대화보다는 한 사람이 발화를 이끌어 가는 경우로 구성할 필요도 있으며, 내용 확장식 응대나 이의 제기식 응대보다는 맞장구식 응대나 정서적 응대를 늘리는 것 등을 구체적인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rough the analysis of an interpersonal function and its materialization in the dialogue of Korean intermediate textbook,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parts needed to be supplemen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dialogue to elaborate the ability of performing an interpersonal function by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this, it has selected an interpersonal function as the criteria to analyze an interpersonal function and its materialization and suggests the method of analyzing the strategies. This paper has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exper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native speakers of Korean and selected 18 interpersonal functions. The analysis of the function follows politeness theory of Brown & Levinson(1987). After choosing 4 intermediate textbooks of Korean as the object of analysis, this paper analyzed linguistic expressions without a context and opening utterances of the dialogues in textbook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linguistic expressions without a context shows us problems that people in unfamiliar relations seldom appear as participants in the dialogue and social and formal utterance settings are very few compared to private and everyday settings. From the result of analysis on opening utterances, it is found that in level 3 textbooks utterances for requesting reaction forms more than 70% of the dialogue, however, in level 4 textbooks utterances for representation increase a little. In the analysis of an interpersonal function in the dialogue, the number in which an interpersonal function is materialized as the main function of the dialogue is not much problematic, however, the number in which an interpersonal function is materialized as the partial function of the dialogue is too small. With the analysis of materializing an interpersonal function through specific utterance strategies, this paper finds out that in relation to positive politeness strategies, ‘claiming common ground’ strategy is mostly used and in relation to negative politeness strategies, ‘question, hedge’ strategy is chiefly used. Utterance that follows the utterance in which utterance strategy of an interpersonal function is materialized has more acceptance speech acts, however, expanding reaction is often followed. This can be pointed out as the reason that makes the activity focused on the aspect of materializing an interpersonal function through the dialogue diffic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