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20세기 초 음성 자료의 유형과 특징을 고찰하여 현대 국어 초기의 구어를 연구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가치와 활용 방안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 소개되었거나 전해지는 20세기 초 음성 자료의 현황을 살피고 자료의 내용과 보존 방식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여 각 유형별 자료에서 발견되는 특징적인 점들을 찾아 구어 연구에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20세기 초 음성 자료에는 유성기 음반으로 녹음된 구연, 연설, 강연, 연극, 영화 등의 자료와 한국영상자료원에서 필름을 복원하여 보존하고 있는 영화 자료 등이 있다. 국어학적인 관점에서 구어는 장르적 속성으로 참여자 간의 역할(tenor)에 따라 ‘일방향’, ‘양방향’, 그리고 ‘격식적’, ‘비격식적’ 유형으로 구분하고, 말하는 내용 즉 영역(field)에 따라 ‘전문적’, ‘일반적’으로 구분하여 분류하면 모두 8가지의 부류로 분류할 수 있다. 20세기 초 음성 자료는 이 중에서 ‘전문적인 격식적 일방향’, ‘일반적인 격식적 일방향’, ‘일반적인 비격식적 일방향’, ‘일반적인 비격식적 양방향’ 음성 자료만 발견된다. 한편 자료의 보존 방식에 따라서는 소리만 전하는 자료와 소리와 영상이 같이 전하는 자료, 그리고 후대에 전사를 하여 문자로도 기록된 자료로 나눌 수 있는데, 유성기 음반은 소리만 전하는 자료이며, 영화 필름 자료는 소리와 영상이 같이 전하는 자료이다. 유성기 음반 중에는 음성이 채록되어 전사된 기록 자료가 있다. 음성 자료는 문자 자료로는 살피기 어려운 언어생활의 실제성 즉 언어 사용의 생생한 면모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자료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다. 음성이 녹음되기 시작한 시대부터 음성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류해 놓는 작업은, 구어의 변화와 확산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determining the value and practical method as preliminary materials for the research of spoken language in its initial form of modern Korean language, exploring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phonetic material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phonetic data at the start of the 20 century, which has been introduced or passed on up to now, discovered distinct features found in each type of data by dividing types into the contents of data and the methods of preservation, and had discussion on the possible application of spoken research. Phonetic material in early 20th century included not only materials such as story-telling, speech, lecture, play and movie recorded on gramophone but also film material of which Korean Federation of Film Archives restored films and kept. From the prospective of Korean linguistics, spoken language is divided into 'one-way', 'two-way' and 'informal', 'formal' according to the role of participants (tenor) and divided into 'professional' and 'normal' depending on what people say, or field: It is classified into 8 groups. Among them, in early 20th century, there was only phonetic data on 'professional and formal one-way', 'normal and formal one-way', 'normal and informal one-way', 'normal and informal two-way'. Meanwhile, depending on the method of data preservation, it is divided into phonetic material, phonetic and image material, and material written in the form of characters that was transcribed by later generations. While gramophone record is a device for conveying sound, movie film data shows sound and voice. Among gramophone record, there is a recorded data in which voice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Phonetic material is highly valuable because it indicates the vivid aspects of daily use of language, compared with written material that is far from showing how people actually use their language. In order to carry out research for changes in spoken language and the process of the spread, it is necessarily needed to systematically prepare and classify phonetic material starting from the period of the beginning of phonetic recor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