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승만 정권의 독재와 부패가 극에 달하던 1950년대 후반, 『사상계』는 ‘국가로부터의 자유’와 국민의 ‘저항권’을 핵심으로 하는 ‘자유 담론’을 형성하였다. 본고는 당시 『사상계』의 매체 담론과 관련하여 볼 때, 1958년부터 배출되기 시작한 『사상계』의 신인작가들 가운데 국가 표상에 관심을 기울이고 자유에 대한 형상적 탐색을 보여 준 작가 김동립의 소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영웅」에 등장하는 ‘Z기’와 「두 암살자」의 ‘암살자’는 모두 개인으로서는 도저히 전모를 파악할 수 없는 압도적이거나 음험한 존재로 ‘국가’를 표상한다. 이러한 국가 표상은 김동립 소설에서 추상적으로나마 당대 현실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국가 폭력’을 문학적 아젠다로 제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당대에 4․19를 형상화한 몇 안 되는 소설 중 하나인 「연대자」는 『사상계』를 비롯한 당시의 보편적인 반공 인식과 등장인물의 심층적인 맥락을 살펴 신중하게 해석할 필요가 있다. 4․19를 경험한 ‘홍태’의 자살은 결과적으로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 달라!”는 4․19의 외침을 최소한의 개인(individual)적 차원에서 실천한 행위가 되었으며 홍태의 두 번째 죽음은 남북한 모두를 비판대에 올려놓는 결과를 가져왔다. 「보충병」은 민족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개인들을 통해 민족/국가의 당위성에 제동을 건다. 이 같은 문제 제기는 시도에 그쳤을 뿐 더 구체화되지는 못했지만, 민족과 같은 집단 주체의 전통이 완강했던 당시를 상기하면 의미 있는 시도였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자유의 길」에 설정된 비현실적 시공간은 인물을 ‘성찰’과 ‘격정’으로 이끈다. 성찰과 격정은 타자에 대한 공감이라는 ‘계시’의 순간으로 상승하면서 ‘타자와의 연대’가 진정한 자유라는 주제를 생성한다. 실존적인 개인의 차원에서 탐색된 이 같은 과정은 소극적 자유(‘-로부터의 자유’)에서 적극적 자유(‘-을 향한 자유’)로 전환하는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으나 비현실적인 시공간을 계기로 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추상적인 것이 되었다. 이는 사회적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작가의 절박함이 낳은 ‘선취된 전망’의 일종으로 보인다. 반공이데올로기와 국가주의가 강화되기 시작하던 때, 『사상계』매체 이념의 자유주의적 저항과는 다른 문학적 측면에서 추상적인 형태로나마 개인 간의 연대와 자유의 실마리를 보여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In the late 1950s, Sasanggye formed the 'Discourse of Liberty' which had the principle of 'liberty from state' and 'people’s right to protest' against Rhee Syngman’s dictatorial regime. In regards to Sasanggye’s medium discourse, we need to focus on the new writer Kim Dongrip who started his literary career in Sasanggye in 1959. He tried to create some representations of the state and set the literary agenda of liberty. Kim aimed at the violence of the state through 'Z plane'(「the Hero」) and 'assassin'(「Two Assassins」). These represented the overwhelming and dark 'state power' that was suspected as a underlying cause of those days. I found those days’ popular understanding of anti-Communist and the profound context of characters worthy to be considered when we interpret 「Yŏn-dae-ja」. As a result, 'Hongtae'’s suicide ended up carrying the 4․19 voice("Liberty or Death!") in action at an individual level and his second death brought criticism about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Bo-ch'ung-byŏng」 attempted to put the brakes on the justifiability of nation/state. 「The way to freedom」 showed the process from the negative freedom("liberty from-") toward the positive freedom("freedom to-") at an existential level and the truth that 'the sympathy with others' and 'the solidarity between the individuals' are the real freedom. But it was abstract because the unreal and artificial time and space led the theme. I think it's a kind of 'preoccupied view' from the writer’s struggle for freed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