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육의 일반적인 모형인 과제 중심으로 변형된 PPP 모형이 아니라 과제 수행 후에 언어 항목에 대한 교수․학습 단계를 포함하고 과제를다시 수행해 보게 하는 TTT 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어 말하기 교재의 모듈을 조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교재는 통합 교재로 한국어를 학습했거나 학습하고있는 중급 이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의사소통적 필요, 교육적 가치,학습자의 요구 등에 따라 필요한 내용을 선택하거나 선별할 수 있는 모듈식 접근에 따라 교재의 구성단위를 조직할 것을 제안한 것이다. 모듈은 교재의 구성단위로서의 완전성과 완결성을 갖추었으나 다른 구성단위와는 독립적으로 기능하기때문이다. 따라서 모듈로 개발된 말하기 교재는 의사소통적 한국어능력의 신장이라는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복선적 구성의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말하기 교재의 모듈을 제목, 학습 목표, 그림․도입 질문, 과제수행 준비하기, 과제 수행하기, 과제 수행 결과 공유하고 문제점 파악하기, 대화듣고 분석하기, 과제 수행 전략 수정하기, 과제 다시 수행하기, 과제 수행 결과 분석하고 나아진 점 보고하기, 자기 평가하기로 조직하였다. 그리고 선택적 활동으로 언어 학습하기를 포함하였다. 이러한 모듈 조직은 실제적이고 유의미한 맥락에서 의미에 집중하여 한국어를 사용하게 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상호작용능력을 신장하는 데 유용하며 학습자가 상호작용 지식을 구성하는 능동적인 주체로서 기능하게 한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표현할 수 있는 주제의 범위를 넓히고 기능 수행의 질을 높여 궁극적으로 말하기 과제 수행의 정교함을 획득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통합 교재와 차별되는 말하기 교재로서의 정체성을 가진다.


This Research suggest the method of organizing the module of Koreanspeaking textbooks by applying TTT(Task-Teach-Task) model. TTT model isnot a PPP(Presentation-Practice-Production) model transformed to a generalmode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 task-based one but an originaltask-based model which includes teaching and learning steps for languageitems after performing the task and then makes learners perform it onceagain. This textbook is for learners in intermediate level and above whoalready learned and is learning Korean with integrated textbooks andtherefore, it suggests to organize the building blocks of textbooks by modularapproach in which teachers can choose or select the necessary contentsaccording to communicative needs, pedagogical values, learners’ needs and soon. This is because a module has a completeness and integrity as a buildingblock of textbooks, however, functions independently from other blocks. Korean speaking textbooks developed with modules could be a way ofdouble track construction to achieve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curriculum, the enhancement of communicative Korean competency. Thispaper has organized modules of textbooks with title, objectives, pictures・warm-up questions, preparing a task performance, performing a task, sharingand analyzing a task performance result, listening and analyzing dialogues,revising strategies for a task performance, performing a task again, analyzingthe result of a task performance and reporting enhancements and self-evaluation. And it has included a language learning as a selectiveactivity. The method of organizing modules of Korean speaking textbookssuggested by this research is useful in enhancing learners' interactivecompetency by making them speak Korean focusing on its meaning inauthentic and meaningful contexts. Also, it helps learners function as activesubjects of constituting interactive knowledges. Above all, the textbooks willhave an identity as Korean speaking textbooks different from integratedtextbooks in that they broaden the scope of topics learners can express andenhance the quality of a task performance and ultimately help learnersacquire a correctness and elaborateness in the performance of a speaking ta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