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20세기 초에 일본인 학습자를 위해 출간된한국어 회화 학습서의 내용 구성과 제시 방식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 시기에 출판된 한국어학습서 중 회화 중심의 학습서 7종을 선정하였다. 주된 연구 내용은 회화 단원의구성 기준 및 단원별 내용, 회화문 구성 방식, 발화자 표시 방식, 의미 제시 여부, 음가 표시 여부, 회화를 보충하는 어휘부의 내용 구성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학습서의 내용 구성의 변화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이 시기에 일본인학습자를 위해 출판된 한국어 회화 학습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모든 학습서가 소재나 상황을 중심으로 회화를 구성하였다. 둘째, 회화의 소재나상황은 일상생활 및 대인 관계 교제, 자연, 생업, 업무가 주를 이루었다. 초기에는 일상생활이나 대인 관계 교제, 생업을 소재로 한 실용적 회화가 주를 이루었으나 차츰 업무 관련 내용이나 설명적 내용의 비중이 커졌다. 일본의 식민지배가본격화된 1910년대 이후에는 교원이나 관청 직원의 업무를 위한 내용이 강화되었으며 경찰을 위한 교재가 출판되기도 하였다. 셋째, 회화는 대화나 고립적 문장들로 구성되었는데 하나의 단원 안에서 대화와 고립적 문장들이 섞여 나타나기도하였다. 대부분의 대화는 응집성이 부족해 담화로서의 완결성을 갖추지 못했다. 넷째, 회화 학습서임에도 불구하고 1종의 학습서를 제외하고는 발화자가 구체적으로 표시되지 않았다 다섯째 . , 모든 학습서에서 한국어 문장에 일본어 대역문이함께 제시되었다. 음가 표시는 독학용 학습서를 포함해 2종에서만 나타났다. 여섯째, 회화와 함께중요한 의미부를 형성하는 어휘는 특수 집단을 위한 학습서를 제외한 6종의 학습서에서 발견되었다. 5종의 학습서가 소재 단위로 어휘를 제시하였는데 일상생활, 대인 관계 및 교제, 업무 관련 내용이 주를 이룬다. 회화와 비교할 때 어휘에 시대 상황이 강하게 반영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conversation textbooks published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for Korean learners of Japanese in terms of content and presentation style. To this end, seven textbooks have been selected that focus on the conversation among the books published at that time. I researched how the criteria of the textbook units is arranged, the presentation of the dialogue, the way the authors mark the speakers of the dialogue, and whether or not they have translations and phonetic value of dialogue in Japanese. In addition, I researched the change of overall content and presentation style over time. In conclusion, the features of conversation textbooks for Korean learners of Japanese have changed over time. At first, most textbooks were organized by subjects and situations such as daily life, personal relationships and friendships, nature, jobs, and business. Next, the textbooks began to include practical dialogues relating to daily life, friendships, and jobs at the beginning, but the subjects they dealt with were shifted towards business contexts and abstract concepts. After the year 1910 when colonization over Korean was full-fledged, content for teachers and civil servants was fortified and policemen textbooks were published. Thirdly, sentences for practicing conversation were presented as dialogue or isolated sentences; mixed forms of sentences also appeared in the same units. When dialogues were used they cannot be completed in terms of meaning. Fourthly, even though their focuses are conversation, five textbooks do not have the title of the speakers. Five textbooks present sentences marked with numbers. One textbook presented sentences without any marks. Fifthly, all textbooks presented Korean sentences with a Japanese translation, and only one book includes phonetic value. Finally, Six textbooks have a vocabulary section that comprise of semantic parts with dialogue. Among them, five textbooks present vocabulary by subject, such as daily life,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and business related words. These words strongly reflected situations of those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