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한국어와 중국어 수여 동사의 어휘 체계를 살피고 대조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먼저 원형적인 수여 사건을 나타내는 단어들을 목록을 선별하였다. 그 후 [공식성], [선의성], [공손성], [의무성], [자선성], [상달성], [하달성], [금전성], [물품성] 등 아홉 가지 변별적 의미 자질을 설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각 수여 동사의 특성을 보였다. 이 내용을 종합하여 한국어와 중국어 수여 동사들을 자질값에 따라 대조해 보였고, 자질과 관계된 입체 공간 속에서 각 수여 동사가 어느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지 시각적으로 나타내 보였다. 기존의 낱말밭 연구들에서 다양한 자질값에 따른 평면적 영역 구획을 보였다면, 본 논문에서는 더 나아가 일종의 입체적 조감도를 보이고자 하였다. 이는 한 언어의 어휘 체계가 일정한 의미 자질에 따라 균질적으로 구성되어 있다기보다는 오히려 비균질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기에 적합한 방식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즉, 보다 실제에 부합하는 결과를 보인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작업은 수여 사건의 여러 양상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하는 수여 동사들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기반이 된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a lexical field of ‘Dative Verbs’ whose meaning indicates an event of [GIVING], and to contrast those verbs of Korean and Chinese. First of all, we excluded various untypical examples and selected canonical ones, then showed properties of each of them with nine distinctive features; [Officialty], [Goodwill], [Politeness], [Obligation], [Charity], [Move-up], [Move-down], [Money], [Goods]. Taking these results, each verb of Korean and Chinese was contrasted mutually. Finally, we presented a stereovisional picture to show that each of verbs occupies a particular domain which is related to distinctive features. While previous studies for a lexical field displayed a simple flat structure, this article rendered a three dimensional bird´s-eye-view. Because lexical(vocabulary) systems of languages are not in perfectly good order with reference to feature values, but in an asymmetric and imbalanced way, this is a more suitable method for giving an overview of such lexical systems. That is, we demonstrated the effective product that corresponds with reality. This elaboration could be a base for understanding and establishing our knowledge of a cluster of words.